2012 법무사 6월호
22 『 』 2012년 6월호 실무 포커스 I 부동산경매 실무 부동산경매시장의 변화와 대응전략 이성준 I 법무사(서울중앙) 경매정보의 활성화가 큰 몫을 했다. 대법원은 이미 오래 전부터 경매정보제공 사이트를 갖추고 경매입 찰 정보 등을 제공해 왔다. 하지만 정보 제한 등의 한계로 인해 큰 호응을 받지는 못한 채 공공의 신뢰 성을 바탕으로 한 기본적 정보제공의 역할에 그쳤 고, 이를 보완해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 키는 10여 개 이상의 유료 경매정보업체들이 속속 등장했다. 이들은 일반인들도 부동산경매시장에 쉽게 참 여할 수 있도록 유용하고 질 높은 경매 컨텐츠 (content)들을 제공하였고, 결과적으로 일반 소비자 들의 이용률도 그만큼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1) 그런데 이렇게 일반인들의 관심은 폭발하고 있는 반면, 2003년부터 부동산 경 · 공매 사건의 입찰대 리 및 재산취득에 관한 상담 등 일체의 권한을 부여 받은 2) 법무사들은 대법원 통계자료가 말해 주듯이 매우 낮은 사건 수임율을 보이고 있다. 그 주요원인들을 살펴보면, ① 법무사들의 사업 다각화의 의지 결여, ② 2005.7.29. 공인중개사들에 Ⅰ . 시작하며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경매시장은 남녀노소를 불 문하고 일반인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하나의 유 용한 직업군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런 경매시장의 대중화 현상은 최근의 부동산경기침체를 틈타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중이다. 이런 대중화가 이루어지게 된 한 원인으로 인터넷 <연재 목차> 1. 부동산경매시장의 변화와 대응전략 2. 부동산경매 구매자 마케팅 전략 3. 부동산경매시장에서의 법무사 위상 제고 4. 부동산경매입찰에서 강제집행까지의 제문제와 해결책 ① 5. 부동산경매입찰에서 강제집행까지의 제문제와 해결책 ② IMF · 금융위기등으로경매물건쏟아져, 재태크수단으로서일반인들의경매수요폭발 경매정보업체활성화등법무사경쟁력약화, 전문성 · 틈새전략으로 ‘수익창출’ 가능해 1) 과거에는 주간잡지에 입찰정보를 실어 소비자들에게 판매하였던 것이 전부였고, 권리분석 내용은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인터넷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되어 누구나 손쉽게 입찰정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2) 2003.3.12 법무사법 제2조 제1항5호 민사집행법에 의한 경매사건과 국세징수법 그 밖의 법령에 의한 공매사건에서의 재산취득에 관한 상담, 매수신청 또는 입찰신청의 대리.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