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법무사 6월호
24 『 』 2012년 6월호 실무 포커스 I 부동산경매 실무 는 경매물건 중에는 예전에 찾아볼 수 없었던 질 좋 은 물건이 다량 쏟아져 있었고, 현금자산가들은 이 를 놓칠세라 그 물건들을 아주 저가에 낙찰 받아 100~1000%까지 차익을 실현하는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이런 일이 입소문을 타고 일반 대중들에게 전파되면서 각종 경매강좌가 늘어나고 입찰 법정은 초만원 상태가 되었다. 상황이 이렇게 변하고 있음에도 법무사들은 (물 론 일부 법무사 중에는 수백억 원대에서 수천억 원 대의 부동산경매 펀드를 조성해 많은 수익을 내기 도 했지만) 여전히 경매시장을 단순히 의뢰 받은 경 매신청서 작성과 소유권이전등기 촉탁 수임 정도로 만족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상황이다. 반면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소비자들에게 부동산 경매는 기피대상이 아닌 적극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인식되어 이미 입찰법정은 과포화 상태가 되어버린 지 오래다. 이는 여전히 법무사에게 매력 있는 많은 대기 수요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요자들은 시장거래가격보다 20~30% 정도 싸 게 취득하려는 심리를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부동산 경매와 재테크 수익 창출은 반드시 일치한다고 믿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입찰자들끼리의 과다경쟁으로 시 장가격보다 많게는 20% 이상 높게 매각되는 경우가 있고, 경매로 매각되더라도 10% 안팎의 수익을 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법무사는 이러한 일반적인 예와 같은 조건으로 입찰경쟁에 나서봐야 그다지 큰 실익이 없다. 사실 경매물건은 부동산 침체기를 제외하면 질적으로 좋 은 물건이 많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그러한 틈새시장에서 수익률을 높임으로써 부동산경매가 재테크 수단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는 것이다. 3. 최근 경매시장 동향과 참여자들의 심리 - 중소형 아파트 고가 낙찰율 증가 추세 지난 2010년 10월 19일 『한국경제』 신문에는 ‘중 소형 경매 1회만 유찰돼도 응찰자 몰려’라는 제목으 로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다. “‘2010.8.29. 부동산대책 발표’ 3) 이후 수도권 아파트 낙 찰가율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18일 경매정보업체인 지지 옥션에 따르면 이달 들어 15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 율은 77.9%로 지난 달의 76.6%보다 1.3% 포인트 상승, 두 달 연속 올랐다. 최근 수도권 아파트 경매에선 고가낙찰이 두드러진 것 으로 나타났다. 감정가의 80% 이상에 매각된 물건이 전체 의 60.6%에 이른다. 지난 8월 45%를 상회한 것과 비교하 면 큰 폭의 증가세다. 실제 지난 11일 서울남부지방법원에 서는 1회 유찰된 감정가 3억5천만 원의 가양동 가양 6단지 전용 58㎡가 감정가의 90%인 3억 1천5백만 원에 매각됐 다. 지난 5월 같은 단지의 동일 면적 아파트는 2회 유찰 후 감정가의 75.2%인 2억8578만 원에 매각됐다. 같은 날 서울동부지방법원에서도 2회 유찰된 감정가 6 억 원의 암사동 현대홈타운 전용 84㎡에 24명이나 입찰했 으며, 최저경매가가 감정가의 64%인 3억8천4백만 원까지 떨어졌으나 82.3%인 4억9388만원에 낙찰됐다. 지난 9월 4 억8천만 원에 경매에 나왔을 때 응찰자가 한명도 없어 유 찰됐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위 기사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 부동산경매시장 에 일반인들이 대거 몰리면서 낙찰가율이 매우 높 아졌다. 또, 경매에 대한 일반인들의 심리는 유찰횟 수를 우선 보고난 후 경쟁자가 몇 명 정도인지를 탐 색하며 향후 수익성도 함께 따져 보는 게 일반적이 다. 초보 입찰자들의 경우는 마치 로또처럼 착각하 3) 2010.8.29.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대책 『실수요자 주택거래 정상화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지원 방안』. 내년 3월까지 DTI규제 한시적 해제, 강남 3구는 제외.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