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법무사 12월호

고전의 향기 I 고사성어(故事成語) 이야기 ① 1) 김민수 편역, 『사기열전』(2008) p.14~25 신동준 편역, 『실록 열국지 1』(2006) p.26~31, p.127~128 관포지교(管鮑之交) 진 영 환 I 법무사 (서울동부회) ‘관포지교(管鮑之交)’란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현신(賢臣)이었던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가 빈 한(貧寒)한 시절부터 서로 사귀어 부귀(富貴)하게 된 후까지 그 우정(友情)이 변하지 않았던 고사(故事)에서 연유한 말로, 매우 친밀(親密)한 친구 사이의 다정(多情)한 교제(交際)를 일컫는 말입니다. 관중과 포숙 『사기열전』 등에 나오는 관중과 포숙에 관한 내용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 관중(管仲) 이오(夷吾)는 영수(穎水) 근방 사람이었다. 젊은 시절에는 포숙아(鮑叔牙)와 사귀었는데, 포숙은 그를 현인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관중은 가난하였으므로 자주 포숙을 속였으나 포숙은 좋게 대해 주었다. 얼 마 뒤에 포숙은 공자(公子) 소백(小白)을 섬기게 되었고, 관중은 소백의 형인 공자(公子) 규(糾)를 섬기게 되었 는데, 형제간에 왕위쟁탈전이 벌어져서 소백이 자립해서 제(齊) 환공(桓公)이 되자 규는 싸움에 져서 죽고, 관 중은잡히어갇힌몸이되었다. 그때 포숙은 제 환공에게 지금까지 환공의 적이었던 관중을 재상으로 발탁하도록 천거하였고, 환공이 포숙의 말을 쫓아 관중을 제(齊)나라의 재상으로 삼았다. 환공은 관중을 임용한 이래 패자(覇者)의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고, 제후(諸侯)와 9회에 걸쳐 회맹(會盟)함으로써 천하를 바룰 수 있었던 것이니 이는 실로 관중의 지모 (智謀)에 의한 일이었다. 관중은 말하였다. “일찍이 곤궁해 있을 적에 포숙과 함께 장사를 하였는데, 이익을 나눌 때마다 내가 몫을 더 많이 가지곤 하였 으나포숙은나를욕심많은사람이라고말하지않았다.내가가난한줄을알고있었기때문이다. 일찍이 나는 포숙을 위해 사업을 경영하였다가 실패하여 다시 곤궁한 지경에 이르렀는데, 포숙은 나를 우매 하다고하지않았다.시운(時運)에따라이롭고이롭지않은것이있는줄을알기때문이다. 일찍이 나는 세 번 벼슬길에 나갔다가 세 번 다 임금에게 쫓겨나고 말았지만, 포숙은 나를 무능하다고 하지 않 58 『 』 2012년 12월호 법무사 `아_t농t-상예復석邑,덧 2던`f너법 1명요정土 *索F .' A u o, 0 』’/ 기`내 'T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