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법무사 6월호
1) 블로그에 베이스캠프 구축하기 상상해보자. 당신은 지금 많은 대원들을 이끌고 있는 원정대 대장이다. 이번 원정의 타깃은 지구 의 최고봉, 에베레스트 산의 정상. 챙겨야 할 중요 한 일들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하지만 가장 큰 고 민은 과연 베이스캠프를 어디에 설치하느냐는 것이 다. 베이스캠프에서는 잠을 자고 밥을 먹는다. 기상 상황을 점검하고 정상정복에 나설 지, 조금 더 지켜 볼 지를 판단한다. 정복에 나섰다가 여의치 않으면 재빨리 돌아올 수 있어야 하는 피난처이고 대원들 이 함께 모여 전략을 짜는 작전본부다. 우리가 생산한 ‘글’이라는 콘텐츠도 베이스캠프가 필요하다. ‘글’을 분야에 맞춰 체계적으로 분류해 정 리하고 저장한 후, 내보내야 할 곳을 찾고 여의치 않으면 글들을 다시 재구성해 새롭게 다듬는 한편, 독자들과 함께 특정 이슈에 대해 모여 의견을 교환 하는 공간이 된다. 현대 인터넷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베이스캠프는 어디일까? 필자는 여러분에게 ‘블로그(Blog)’를 추천 한다. ‘1인 미디어’로도 불리는 블로그는 인터넷 관 계망을 뜻하는(Web)과 시간의 기록을 뜻하는 (Log) 의 합성어다. 네이버나 다음 등 대형포털에서는 카페 (cafe) 형태의 웹사이트도 개인에게 제공하지만, 카페 는 커뮤니티 중심이라 조금 부담스럽다. 콘텐츠 베이 스캠프로는 자신의 정보를 시간 순서에 따라 기록해 두며 언제든지 입출력이 용이한 블로그가 적당하다. ▶ 카페와 블로그의 차이 카페 블로그 운영방식 •회원제 •1인 운영 운영형태 • 공통관심사의 정보 를 공유하는 공간 • 자신만의 관심사를 표현하는 공간 장 점 • 다른 사용자의 정보 를 취득할 수 있다. • 원하는 주제를 자유 롭게 정할 수 있다. • 공통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모은다. • 자신의 능력을 한껏 드러낼 수 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다. 이참에 옆에 있는 컴퓨터 에 전원을 넣고 무작정 블로그를 개설해 보자. 그냥 무작정 따라하면 된다. 국내에서는 대형포털인 네 이버 (naver.com) 와 다음 (daum.net )에서 제공해 주는 블로그를 이용하는 것이 대세다. 대형포털을 등에 업고 있어 검색과 노출에서 유리하다. 그 중에서도 우리는 다음이 제공하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해보자. 티스토리 (tistory.com) 는 태 터앤컴퍼니가 개발한 블로그 서비스다. 2007년 다 음커뮤니케이션이 지분 100%를 인수하면서 다음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가게 됐다. 티스토리는 네이버나 기타 블로그와 달리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과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하다. 그래서 티스토리를 ‘설치형 블로그’라 부른다. 향후 블로그의 콘텐츠를 SNS를 통해 확산시킬 때도 유리하다. <설치형 블로그 ‘티스토리’의 첫화면> 이곳에서 초대장 공모를 확인할 수 있다. 티스토리에 블로그를 개설하기 위해서는 회원가 입을 한 뒤에 기존 회원으로부터 초대장을 받아야 한다. 티스토리의 초대장 제도는 무료서비스가 자 리잡고 있는 한국형 인터넷서비스에서 낯선 개념 이 틀림없다. 하지만 무분별한 블로그 개설을 차단 해 양질의 콘텐츠를 모으고 개설과 동시에 초대장 을 보내준 이와 이웃 블로그로 등록되면서 초기 블 로그 운영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인 평가를 받고 있다. 초대장은 티스토리 메인페이지 ‘티스토리 초대신 실무포커스 ▶ 경영 실무 37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