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실무포커스 ► 기업법무 이야기® 711!~ 를 하고 있어서 이러한 대기업을 상대방으로 소송을 하는 경우 ‘이해관계 충돌(conflict of interest)' 문 제로 이들 대형로펌을 대리인으로 선임하는 데 어려 움이 있을수있다. 2. 법률자문법률시장 법률자문은 대체로 중견규모 이상의 로펌이 시장 을 장악하고 있는데, 이중에서도 소위 6대 로펌이 주요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 같다. 자문 보수는 변 호사의 경력에 따라 시간당 수십만 원에 이르기까지 하는데, 사안이 복잡하여 여러 명의 변호사가 투입 되는 경우의 자문 보수는 ‘‘시간당 자문료 x 자문시 간 X 변호사 수”로 계산되어 엄청난 비용이 들 수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기 업들은 자문 보수 총액을 어 느 정도 정하고 자문을 의뢰하게 된다. 필자 회사의 경우 연간 소송예산이 자문예산보다 훨씬 많지만, 어떤 기업은 소송예산은 수억 원 수준 인데 자문예산이 수십억 원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대형로펌의 경우송무분야매출못지않게 법률자문 분야 매출의 비중이 높으며, 이러한 로펌들의 경우 송무팀과 자문팀이 분리되어 있어서 거의 별도 회사 처럼 운영되는수준이라고한다.9) 3. 기타분야 법률시장 분야로는 소송과 법률자문 외에 부동산 과 법인 등기시장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소송과 법률자문, 즉 변호사 법률시장을 법률시장으로 보 고, 그 시장규모를 3조 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10) 등기사건의 경우 대략 수천억 원의 시장규모를 가지 고 있는데, 필자가 보기에는 점점 낮아지는 부가가 치로 인해 어려운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9) 로펌에서는 송무팀은 소송사건을 수임하고자 하는데, 자문팀에서 상대방 쪽 에서 의뢰하는 자문보수의 수익이 높다먼서 소송사건 수임을 거절하라는 요 최근에는 소형로펌이나 개인 변호사사무소에서 등기사무장을 영입하여 부동산등기나 법인등기를 처리하는데, 통상적으로 변호사들이 직접 등기업무 를 감독하지 않고 사무장을 통해 업무를 처리하는 일이 점점 많아지는 것 같다. 이 경우 변호사 사무소는 등기업무를 하면서도 전적으로 사무소 직원에게 업무를 전담시켜 등기업 무를 하는 것으로 법무사들과의 차별점이 없어 가 격경쟁에만 몰입하여 시장자체를 혼탁하게 할 우려 가있다. 그밖에도 로펌들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각종 법률 교육 서비스나 세미나를 제공하기도 하는데, 시장규 모가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필자의 느낌으로 는 기업 고객들에 대한 부가적인 서비스 제공과 자 체적인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개최하는 경향이 강한 것같다. w.마치면서 - 법률시장에서 생존을위한조건 1. 기업 눈높이에 맞는 법률서비스제공필요 기업은변호사가요구하는보수를그대로주지 않 는다. 간단한 사건에는 낮은 보수를, 복잡하고 중요 한 사건에는 많은 보수를 주면서 차별화하고 있다. 변호사들도 많은 보수를 받을 수 있는 사건의 경우 그만큼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고 있 다. 최근에는 변호사들 간에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 라 낮은 보수의 사건이라도 최선을 다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필자의 회사도 변호사들 간의 서비스 수준을 비교 해 기대에 못 미치는 변호사에게는 되도록사건을주 지 않으려고 노력한다.11) 이는 회사를 위해서 뿐만 청도종종있다고한다 10) 「2017년 법률시장 완전 개방되먼」 2013.4.17. 한국일보 『 巳 내 수 』 20 13' .: !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