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실무포커스 ► 기업법무 이야기® 8~£ 기업법무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자격 기업 내 법률문제소통하는‘플랫폼'역할 사실관계 • 쟁점 등 명확히 정리, 사업부서와 외부 변호사의 ‘교량 역할 … 기본 법률지식은 필수 사내에선 외부변호사보다 더 많은 법률자문 역할 … 재무 • 회계, 기업분야 관련법률도 공부해야 이 헌 재 I 인천도시공사 경영지원처 법무팀(제7회 법무사시험 합격) 기업 법무부서에서 일하는 법률가의 사례는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다른 법률전문직에서는 비교적 흔한 일이나 법무사업계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다. 최근 기업 윤리와 준법경영이 강조되면서 기업 법무부서의 위 상도 높아지고, 법률가 수요도 많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법무사로서 공기업 법무부서에 입사, 많은 기업 법무 경험율 쌓은 필자의 경험담율 연재한다 그간 필자가 법무부서에서 일하며 보고 느낀 다양한 이야기들이 기 업과 거래하는 법무사들은 물론이고, 기업 입사를 희망하는 법무사들에게 매우 소중하고 유익한 겅보가 될 것이 라7|대한다 〈편집자주〉 -\ 연재 목차 ,,---------------------- \ - . . . I ------------- 1. 기업법무와법무사 2. 기업법무실무사례 3.소송대리인 경험담 4 기업법무담당자가본 법률시장 5. 기업법무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자격 6. 법무사의 기업 법률시장참여를위한제언 L 들어가면서 - 전문성이 필요한 법무 직무 기업은직원을채용하기 위해 입사지원자의 학력, 경력, 자격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고, 이에 더 해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기업의 직 무는 인사, 노무, 재무, 기획, 총무, 감사, 영업, 생산 관리, 법무 등으로 다양하고, 해당 직무에서 요구하 는 직원의 능력과 자격요건은 저마다 다르다. 기업(특히 대기업)의 경우직무가상당히 전문화되 어 있어서, 통상적으로 입사 당시의 직무에서 상당기 간 동일 또는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경향이 강하지 만, 공무원과 공기 업 등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길어야 3년 정도면 직무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만, 공공기관이라 하더라도 몇몇 분야는 특수성 을 인정받아 특정 전공이나 자격증을 요구하는 경우 가 있는데, 대표적인 직무분야가 인사, 재무, 법무, 전산 등의 경영지원부서와 전기, 통신, 가스, 토목, 기계등의 기술분야다. 법무와 관련하여 기 업은 대체로 대학에서 법학 전 공을 이수한 자를 위주로 법무부서에 배치하는 경향 이 강하고, 변호사나 법무사 등의 법률 관련 공인자 『 "中 수 』 20 13 \:!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