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법무사 8월호

21 는없는것같다. 한편 어학(특히 영어)의 경우 신입사원 채용과정 에서 기업들이 필수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을 요구하 고 있고, 경력직 채용에서도 영문계약서 작성 및 검 토 능력을 요구하기도 하지만, 법률분야의 영어는 일 반 비즈니스나 실용영어와 차원이 다르며 용어들이 일반적인 용례와 다르게 쓰이는 경우가 많아서 토익 (TOEIC)이나 토플(TOEFL) 고득점자라고 하더라도 쉽게 다룰 수는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N. 마치면서 필자가 기업 법무업무를 하면서 느낀 점은 법무 업무라는 것이 쉬우면 한없이 쉽고, 어려우면 한없 이 어려운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상당 수의 법무업무를 외부 로펌 등 변호사에게 의뢰하는 경우가 많아서 마음만 먹으면 업무를 외부 변호사에 게 전달하고 보수지급이나 보고서 작성 등으로 업무 를 단순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변호사가 선임된 사건이라고 하여 법무 담당자가 모든 사안을 변호사나 담당 사업부서에게 떠넘기면 이들 모두가 업무를 처리하는데 상당히 애 를 먹는 경우가 많으며, 변호사와 사업부서 모두 원 활한 업무처리를 위하여 법무부서의 협력을 원하고 있기도하다. 따라서 기업에서 법무 담당자에게 요구하는 업무 수준이 낮은 정도라면 법률에 대한 깊은 이해나 실 무경험은 그다지 필요하지 않을 것이나6), 해당 기업 의 요구수준도 높고 실제로 기업 내 법률문제의 발 생빈도가 높고 복잡한 경우에는 아무리 많은 법률고 6) 중견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상당수의 기업들이 별도로 법무부서를 갖추지 않거나 심지어는 다른 분야의 업무를 하는 직원이 법무업무를 겸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7) 이 경우 다소 입사가 용이한 작은 규모의 회사에서 법무경력을 쌓아 이직하는 것도한가지 방법일 것 같다. 문 변호사가 있다고 해도 법무 담당자는 실체법 및 절차법에 대해 밝아야 하고, 실무지식도 상당수 갖 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필자가 법무 담당 자에게 요구하는 업무태도로 서비스 정신을 들었는 데, 여기에는 서비스의 기본인 친절과 편안한 태도 도 포함되는 것이다. 서비스 정신은 단순히 선의(善 意)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외부고객에 대한 좋은 서비스가 궁극적으로 기업 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듯이 법무부서의 내부 고객(他부서)에 대한좋은서비스 역시 기업의 성과, 특히 리스크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필자는굳게믿고 있다. 사업부서는 일반적으로 법률의 기초적인 지식이 많이 부족하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그것이 ‘경영 판 단의 영역’인지 ‘법률 판단의 영역’인지를 구별하거 나, 심지어 법률 검토의 필요성 여부를 인식하는 것 도 어려울 수 있어 이로 인해 문제가 발생해 소송에 서 패소하는 등 예기치 않게 기업에 큰 손실을 미칠 수도있는것이다. 따라서 법무부서가 평소에 아무리 터무니없는 질 의라도 친절하고 성실하게 상담에 응해주면서 경영 판단의 영역인지 법률판단의 영역인지를구별해주 거나 필요한 경우 로펌 등에게 법률검토를 의뢰토록 적극 조언하는 등의 자세를 보여준다면, 사업부서는 언제든지 편하게 터놓고 사업적인 고민에 대해 법무 부서와 상담할 수 있을 것이고, 이 경우 자연스럽게 기업의 법률 리스크의 예방이 가능해지게 된다. 법무사의 경우, 법무사로서의 실무경력이나 업무 방식이 기업에서 주로 요구하는 법률지식이나 업무 스킬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이론이나 실 무에서 기본기가충실한만큼기업법무분야에서 적 응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다만, 요즘 채용정보를 보면 법무 경력직 채용에 서 기업법무 경력이나, 변호사 자격을 요구하는 경 우가많아법무사경력을이용해 기업체에 입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7). 止泊k보bw브呼g 10응프 G)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