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mI깁뚜사의서재 2013\:'! 8~.£ 그 섭어I'7I-고 상가- -장그르니에의 『섬』 임 익 문 I 법무사(전라북도회) |J…Gr:'’' 홉oI터 잡社 두、 11t}111 0,.t, 는, 1t 1L이o11으I '~i I., 、’’’` ?꾸내이 r"'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섬에 가고싶다. • i 정현종 시인의 그 유명한 「섬」이라는 시 전문이다. 정현종 시인의 점'이라는 공간을 어 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 필자는 정현총 시인에게 있어 ‘섬’은 사람과 사람 사이 를 이어주는 징검다리이며 고립과 단절율 극복하는 하나의 매개체가 아닐까 생각한다. 고립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단절을 극복하고 타자에게 다가가려는 하나의 사건에 점’이 개입하는 것이며, 따라서 점’은사랑과슬픔희망과좌절의 감정을이어주는감정의 결사체라고해도좋을듯싶다 장 그르니에의 ‘섬’은 그렇다면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 장 그르니에의 ‘섬’은 정현총 시인의 ‘섬’과는 달리 단순하고 명확하지는 않다. 좀 더 미묘하고 복잡하고 몽환적이며 공(空)이며, 갑힐 듯 갑힐 듯 잡히지 않는 안 개와같은것이라고우선 말해야할것같다. 장 그르니에를 이야기하면서 함께 언급하지 않율 수 없는 사람이 알베르 까뮈이다. 까뮈는 알제 그랑 리세(우리 나라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함)에 재학중이던 1930년, 철학교사였던 장그르니에를 만나평생 스승과제자의 연을 맺게 된다 까뮈는 1932년부터 그가 사망한 1960년까지 그르니에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존경과 우정을 지속한다. 그들의 관계는 스승과 제자였지 만 우리가 생각하는 예속과 복총이 아닌, 대화와 상호존중의 관계였다고 해야 옳율 것같다 얌1타’~ '11~1으I ~-1문 A l bert Co.mus 까뮈가 알제에서 그르니에의 「섬」을 처음으로 읽었을 때가 스무 살이었고, 내가 그르니에 의 「섬」을 처음으로 읽었을 때는 서른 살이었다. 까뮈는 "길거리에서 이 조그만 책을 열어본 후겨우그처음몇줄을읽다말고는다시 접어 가슴에꼭껴안은채 마침내 아무도없는곳 에 가서 정신없이 읽기 위하여 나의 방에까지 한걸음에 달려가던 그날 저녁으로 나는 되돌 아가고싶다"고고백하고있거니와, 나는헌책방에서 까뮈의 이 구절율읽다가「섬」율꼭껴 안고 한걸음에 집으로 달려가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표中수 』 서 口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