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법무사 12월호
실존주의철학(1) ‘실존(Existenz)’이란말의본래의뜻은‘본 질에대한현실존재’라는뜻이다.현실존 재는인간의존재에있어서는절대적이 다. 즉,‘나’라는인간은타인과절대로교 환할수없는유일무이한존재이다. 따라 서‘실존( 實存 )’이란인간본래의자기라 는뜻이요,실존주의란불안과위기에서 자기를상실한인간이본래의자기주체 성을회복한다는주의,주장이다. ” “ 1. 개관 (1) 현실 파악의 두 가지 방향 현실파악의 방법에는 자기를 밖으로 내세우려는 적극적 태도 즉, 향외적(向外的)인 사고방식과 이 사회로부터 도피하여 은둔 보신하려는 소극적 태도 즉, 향내적(向內的)인 사고방식이 있다. 이 두 가지 의 태도는 철학에 있어 시대 상황에 따라 향외적에 서 향내적으로 다시 향외적으로 전전되어온 것이 철 학사의 한 기류가 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향내적 사고방식인 실존주의 철학을 살펴보기로 하는 바, 실존주의 철학은 현대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占)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를 살아 가는 현대인으로서 실존주의철학은 지식인, 교양인 으로서 필히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2) 실존주의 철학의 배태(胚胎) 근대에 이르러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저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한 것이었다. 인간이 발명한 화약의 힘, 자석의 힘, 수증기, 전기 등의 동력으로 신대륙을 발견 개척하여 광대한 식민지를 만들어 부 (wealth)를 축적하였다. 그러나, 1919.7.28.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사망자 900만 명, 부상자 2,000만 명, 물적 손실 최 진 태 ■ 대한법무사협회 감사·본지 편집위원·법학박사 인문학의 창 72 『 』 2013년 12월호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