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법무사 7월호
일한 어두를 붙일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이 극복, 또는 넘어서고 싶었던 인상주의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경직성, 단순성일 것이다. 어떤 면에서? 대상, 특히 자연을 보고 어떤 순간의 현상을 포착하는 방식에서일 것이다. 좀 더 단순하게 ‘빛’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어떻게 달랐던 것일까? 자연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다는 명제의 허구성을 깨달은 것이 이들만은 아닐 것 이다. 객관적 진실이란 있을 수 없고, 관찰자(화가)의 시각, 시간, 주위에 따라 대상 은 다르게 보인다. 어떻게 보면 ‘있는 그대로’ 그린다는 행위의 부조리성은 ‘보이는 대로’ 그린다는측면과정확하게반대되면서도상당히많이겹친다. 절대(絶代)와 초월(超越), 존재(存在)의 본질(本質), 실체(實體)를 추구해 왔던 중세(中世)의 세계관이 르네상 스(Renaissance)를 거쳐 인간화, 세속화를 가속하면서 상대(相對)와 실존(實存), 현존재(Dasein : 하이데거의 표현이며 훨씬 후에 나온 개념이지만 편의상 설명어로 차용한다)로서의 인간의 속성, 현상(現象)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회(轉回)되어 온 것이 19세기의 가장 큰 의식의 흐름일 것이다. 거칠게 말하면 모든 예술사와 사상 사와 문화사가 이렇게 설명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똑같이 그리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와 닿는 대로, 그 인상을 끄집어내서 표현한다, 인상적으로 그린다 는 것이 인상주의자들의 모토(motto)였을 것이다. 인간 중심의 세계관이 맞이한 주체(主體)성의 개화이다. 그 래서 이들은 실내보다는 야외에서, 풍광에 따라 달라지는 건축물, 다리, 물(水), 하늘, 숲과 인물(들)을 그렸다. 그런데, 1886년의 마지막 전시회 이후 이러한 인상주의의 ‘자연스러운’이라는 시각에 반발하며 이른바, 신 인상주의, 고흐와 세잔, 로트렉 등의 개인적 실험주의자들과 종합주의를 표방한 고갱 및 나비파 등이 출현한 다. 이들이 비판의 대상으로 삼은 인상주의라는 슬로건에서 조금씩 각자 다르게 분파한 것이지만, 큰 시각에 서는 이들 역시 인상주의의 아들들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피카소나 마티스, 달리 등 전혀 다른 화풍이 나오기까지 이들의 표현 양식은 다양하면서도 하나의 큰 줄기로 읽을 수 있다. 그 대부분의 작품이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것이 바로 프랑스의, 파리의 자 부심인 것이다. 모네를 존경한 세잔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모네는 시력이 한쪽밖에 없다. 하지만 이 얼마 나 뛰어난 시력인가!” 모네의 대표 걸작 「양산 쓴 여인」 최초 공개 필자가 어떻게 개개의 작품을 설명하겠는가. 이는 능력을 벗어나는 일이다. 다만, 불행한 삶을 살았어도 세 대를 넘어 우리에게 영감을 준 위대한 화가들의 그림과 조소 작품을 보고 싶은 독자들에게 관람을 권한다. 모 네의 대표적인 걸작 「양산 쓴 여인」이 국내 최초 공개되었다는 것과 여인들의 빗, 분첩, 장신구, 화병 등 19세 기 후반 제작된 오브제를 통해 당시 파리여인들의 생활사를 엿볼 수 있는 것, 파리의 만국박람회(바로 ‘엑스포 (EXPO)’의 전신)를 맞아 지어진 에펠탑의 건축 과정을 스케치로 접할 수 있는 것도 이번 전시회의 매력이다. 도록에 인용된 카를린 마티유의 글에서 마지막 한 구절을 발췌해 옮겨 본다. “인상주의는 다음 세대에게 주제에서 해방될 수 있는 자유를 가져다주었다. 자유롭게 색을 쓰고, 색의 농담 또한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 역시 인상주의가 남긴 유산이었다.” 73 문화가 산책 ●미술 ● 관람 장소 및 일정 :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 2014. 5. 3. ~ 8. 31. ● 전시 문의 : 02) 325-1077~8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