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법무사 9월호

®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서(怨) - 창조하는 삶과 공존하는 삶 溫故而知新 可而爲師矣. 옛 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알아낸다면 스승이 될 만 하다는 말이다. 창조를 가능케 하는 어떤 지침이 필 요한 바, ‘온고이지신’에서 찾을 수 있다. 온(溫)과 지御)가 창조의 비밀이며, 기촌의 것을 해체하여 재 배치하는 과정을 말한다. 새 것은 헌 것 속에 있으며 다만온과지의 과정을통해 옛 것이 새 것으로다시 태어난다는 변증법적 관계로 창조를 설명한다. 이제 공존하는 삶을 찾아보자. ”子貢問日 : 有一言 而可y人終身行之者平?, 子日 : 其怨平! 己所不欲 勿施 於人. 자공이 물었다• 선생님, 한평생 나침판으로 삼 아 자선을 이끌어갈 만한 한 마디가 뭡니까? 공자가 대꾸했다. 그건 바로 관용의 원칙이지! 자신이 바라 지 않는 것을 주위사람들에게 끼치지 않도록 하라.” 공자는 둘 이상이 서로 관계를 맺으면서도 충돌 없이 서로 발전으로 나아가는 길, 서(怨)의 길을 제 시하고 있다. ‘서’는 인(仁)에 도달하는 가장 가까운 길로서 사람을 수단이 아닌 목적, 필요가 아닌 인격 으로 대우한다. 이는 자아와 타인이 공존할 수 있는 대원칙으로서 다원주의 사회의 가치다. 4 공자의 영향과21J.fl...,l의 유학 공자는 ‘상가집 개(喪家狗)’라고 부를 정도로 끝없 는 실패를 겪었다. 실패를 거듭하다 보면, 자신에게 닥친 사태의 결 하나하나를 놓치지 않기 위해 치열 하게 노력한다. 『논어式: 공자가 오래된 패배倻여t), 거듭된 실패와 좌절 속에서 비롯된 가르침을 담은 글이기에 씹으면 씹을수록 맛이 새로워진다. 공자가중국사상과문화, 더 나아가동아시아사상 과 문화에 끼친 영향은 실로 막대하고 지속적이다. 그 까닭은 무엇보다도 그가 이상주의자였기 때문이 다.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 사이, 지배계층 내부의 갈등관계를 인(仁)에 바탕을 둔 덕치(德治)로 화해시 킬 수 있다는 그의 입장 은 다분히 이상주의적이며, 현실에 당장 실현되지는 못해도 역설적으로 긴 생명 력을 지닐 수 있다. 이상주의가 지니는 유연하면서도 끈질긴 생명력, 바로공자의 생명력이라할수 있다. "i;'Jt -i?>,A1'} ,. ^;A r(" ,'L, · 정웅· Jz. I .0 유학에는 ‘궁수가 과녁을 맞히지 못하면 스스로를 돌아보지 과녁을 탓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현대 인은 일상에서 자선과 타인, 또 세상과 수시로 충돌 한다. 삶은 행복도 느끼지 못한다. 유학은 그런 문제의 원인과 열쇠가 자기 속에 있 음을 일깨워 준다. 그래서 성찰과 자기훈련이 필요 하고 이런 훈련의 기초가 유학에는 아주 풍부하게 녹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우리나라가 예를 들면 복지정책을 체계적으로 갖 추기 위한답시고 서구사회 민주주의 철학을 맹목적 으로 따르려 하는 사조가 있는데, 그것보다는 우리 안에 전부터 있어온 그에 걸맞은 사상전통을 찾아 따 르는 것이 옳다 하겠다. ‘인(仁)'사상이 이에 해당된다 하겠는데 이제는 우리 유학도 좁은 역사적 경험의 테 두리에서만 맴돌거나 식민지 시대의 역사관에 머물 지 말고 이를 벗어나 ‘인(仁)’을 바탕으로 하는 유학의 근거이념을다시 성찰할필요가 있다하겠다. 龜 • 신정근 강의 (플라톤아카데미) 동양고전프로그램 • 『인문학 명강』 (21 세기북스) p.6~35, 신정근 편 p.39~69. • 『마흔, 논어를 읽어야할 시간』 (21 세기북스) 신정근 지음 • 『논어』 (혜원출판사) 김석원 역해p.6~14. • 『동양사상』 (랜덤하우스) 표정훈 저 p.34~39. • 『고전』 (작은씨앗) 박재희 저 • 기타 ® 인문학의창 ~ . , 2 . ' 오 凍7七》소 후? ¢ 4 쏴 i"F ,' , i.L 木 % 尖 坂' { ` ·툴, 2 c 鬱'R:?' 덴~ ?? J d'답 ?'...'.’;'월 껀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