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법무사 2월호
10 는 경우가 많고,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7)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나 이가 젊을수록 더 높게 나타나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 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자녀에 대한 집착이 적은 만큼 가족부양에 대한 생각도 많은 변화를 보여서 노 후에 더 이상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다 수를 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2) 소가족화 및 가족규모 축소에 따른 의식변화 우리 사회의 산업화, 근대화에 따라 점차 3세대가 함께 하는 대가족제도에서 가족세대가 부모와 자식 으로 구성되는 소가족 또는 핵가족제도로 단순화해 왔다. 근래는 이러한 핵가족화가 더욱 급속해지면서 가구당 구성원수도 점차 감소하고 있다. 아래 우리나 라의 가구당 평균가구원수에 관한 통계표에서 보면 1980년에 4.5명에서 1990년 3.7명, 2000년 3.2명, 2010년 2.7명까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가구당 평균 가구원수가 급격하게 감소한 것은 출산율 감소로 인한 핵가족화 및 1인가구의 증 가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아래의 통계표를 보면 90년을 기점으로 6인 이상 가구수가 급속이 줄 어들고 1인가구의 수가 급속히 증가추세를 보인 것 을 알 수 있다. 1인가구의 증가는 혼인율이 감소하고 초혼연령이 높아짐에 따른 미혼 독신가구의 증가와 이혼이나 별 거에 따른 단독가구, 그리고 사별이나 황혼이혼에 따 른 노인 단독가구의 증가 때문이다. 이처럼 현재 우리 사회의 1인가구의 증가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 을 뿐만 아니라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다양한 특성 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회현상으로 여 겨지고 있다. 이러한 가구당 가구원수의 감소와 달리 여성의 사 회활동은 활발해지면서 가구 내에서 간병 등 개호 (Pflegeversicherung)할 수 있는 힘은 크게 저하되 고 있는 추세다. 대가족일 때는 할아버지나 할머니가 치매나 질병에 걸리더라도 이를 간병할 수 있는 사람 이 가정 내에 있었으나 현재와 같은 소가족 또는 핵 가족 하에서 이는 불가능에 가까워 사회정책적인 필 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 여성의 사회 활동이 활발해져 인구의 50%를 넘어서면서 전체가구 중 맞벌이 가구가 약1/3을 차지 하게 되었다. 이는 여성의 교육수준 및 자아실현 욕구 한국사회고령화및가족관계의변화와가사사건의변화 특집 ▶ 우리나라 가구수 및 가구원수별 구성비율과 평균가구원수 단위 : %, 1,000가구 가구수 가구원수별 가구 구성비율(%) 평균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이상 전국 1980 7,969 4.8 10.5 14.5 20.3 20 29.8 4.5 1985 9,571 6.9 12.3 16.5 25.3 19.5 19.5 4.1 1990 11,355 9 13.8 19.1 29.5 18.9 9.8 3.7 1995 12,958 12.7 16.9 20.3 31.7 12.9 5.5 3.3 2000 14,312 15.5 19.1 20.9 31.1 10.1 3.3 3.2 2005 15,887 20 22.2 20.9 27 7.7 2.3 2.9 2010 17,339 23.9 24.3 21.3 22.5 6.2 1.8 2.7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 각 년도 7)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조사’에 의하면 반드시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비율은 1991년 90.3%에서 1997년 73.7%, 2000년에는 58.1%로응답하고있다(김승권외, 『한국가족의변화와대응방안』, 31면)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