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법무사 2월호

11 『법무사』 2015년 2월호 가 높아진 점과 더불어 교육비, 주거비용 등 가계 소 비지출의 증가를 의미한다. 남편과 부인이 공평하게 가사분담 해야 한다는 의 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현실적으로 부 담하고 있는 가사노동시간은 위의 표에서 보는 것처 럼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이 부담하고 있다. 산업사회 가 되면서 남성이 가사분담을 함께 해야 한다고 의식 은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아직 농경사회에서의 의식이 남아 있어서 미진한 실정이다. 3) 비정형적 가족형태의 출현 과거에는 부모와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정 형적인 것으로 생각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정형적 가족이 아닌 1인으로 구성된 1인가구나 노인 단독가구가 증가하고 있고, 부모 모두와 함께 사는 것 이 아니라 부모 중 어느 한 쪽과 사는 한부모가정도 증가하고 있다. 또, 부모와 동거하지 않고 자녀들만 사는 이른바 ‘새싹가정’9)도 증가하고 있고, 부부가 자녀 없이 사는 이른바 ‘무자녀가구’도 증가하고 있다. 4) 가족형태의 다양화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가구주가 고령화되고, 이 혼율의 증가와 비혼 독신여성이 증가하면서 여성 가 구주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혼·사별 등으로 인한 한부 모가족도 증가 추세에 있다. 한부모가족의 경우 부와 자녀가 가족을 이루는 경우보다는 모와 자녀가 가족 을 이루는 경우가 더 많고, 후자의 가족이 경제적 어 려움에 처해 있는 경우가 더 많다. 한편, 국제화시대에 가족의 국제화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하나는 외국 인과 혼인하여 자녀를 출산, 가정을 이루는 이른바 특집 ▶ 성 및 가사노동 종류별 가사노동시간8) 단위 : 분 1999 2004 2009 계 남성여성 계 남성여성 계 남성여성 전체 306 36 270 294 39 255 293 46 247 가정관리 238 25 213 224 26 198 224 32 192 가족보살피기 68 11 57 70 13 57 69 14 55 출처 :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각 년도 ▶ 한부모가구 비율과 부모의 성별 한부모 가구수 단위 : %, 1,000가구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한부모가구비율(%) 6.2 5.8 5.7 6.1 6.6 6.8 한부모가구(1,000가구) 594 662 744 871 1,042 1,181 부+미혼자녀 - - 122 162 223 253 모+미혼자녀 - - 622 709 819 928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각 년도 8) ‌ 가사노동시간은 20세 이상 기혼 남녀가 1일 평균 가사노동에 사용한 시간임. 가사노동에는 음식준비 및 정리, 의류관리, 청소 및 정리, 집 관리, 가정관리 관련 물품구입, 가정경영, 기타 가사일 등의 가정관리와 가족보살피기 등이 포함됨. 9) ‌ ‘새싹가정’이란 이혼, 별거, 가출, 행방불명 등으로 인한 결손가정이 가족해체로 이어지면서, 아동 및 청소년끼리만 함께 사는 가정을 말한다.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