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법무사 3월호

81 『법무사』 2015년 3월호 고, 아일랜드에서 전설적인 ‘U2’, 캐나다에서 브라 이언 아담스, 네델란드에서 제라르 졸링, 스웨덴에서 Roxette(록시트) 등이 등장하면서 팝스타의 글로벌 시대가 개막된다. MTV시대, 팝스타의 글로벌화와 연대도 낳아 음악적으로는 80년대 등장한 신디사이저를 중심으 로 한 사운드 중심의 ‘뉴웨이브 음악’이 주류를 이루었 고, 듀란 듀란, 폴리스, 컬처클럽, 아하, 휴먼리그 등이 대표적인 스타들이다. 뮤비시대가 되면서 영상과 음악이 공존하는 본격 적인 영화음악의 시대도 도래한다. 1981년 동명영화 의 주제곡 「Endless Love」가 빌보드지 9주간 1위를 하는 기염을 토하면서, 영화 「Flash Dance」의 주제 곡 「What A Feeling」, 프린스의 「퍼플레인」의 동명 OST가 큰 인기를 끌었다. 이후 「더티 댄싱」 OST의 「Time Of My Life」, 「탑 건」 OST의 「Take My Breath Away」, 「칵테일」 OST의 「Kokomo」 등 80년대 후반까지 그 열기가 대 단하였다. 한편, 뮤비시대에도 불구하고 가창력으로 승부하 는 싱어들의 존재감은 여전했다. 불의의 일격으로 사 망한 비운의 스타 ‘존 레논’을 비롯해 마돈나의 라이 벌 「She Bop」의 신디 로퍼, 「Lady」의 케니 로저스, 「Bette David’s Eyes」의 킴 칸스, 「Every Breath You Take」의 폴리스 등이 인기몰이를 하며 감각적인 비주얼 스타 ‘틴 아이돌’의 인기를 무색하게 하였다. 그러나 80년대 후반이 되면서 뮤비시대도 차츰 균 열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틴 아이돌에 열광하던 10대 들이 시간이 흘러가자 뮤직비디오의 감각적 영상에 싫 증을 내기 시작했고, 전자사운드에도 식상해지자 음악 의 인기주기가 점차 짧아지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티파니, 데비 깁슨, 폴라 압둘, 칼리 미노 그 등 새로운 하이틴 스타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그 얼굴만 변할 뿐, 음악적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던 1980년대 후반부는 음악의 암흑시대가 된다. 반면, 국내에서는 유럽 음악이 뮤비를 타고 일렉트 로닉 사운드를 동반한 전자 댄스음악으로 상륙해 큰 인기를 누렸다. 기존의 비트보다 빠른 비트를 만들고, 비슷한 비트를 연결한 음악들을 결합하여 메들리처 럼 연속적 음악을 선보였다. 런던보이스의 「Harlem Desire」, 모던 토킹의 「You’re My Heart, You’re My Soul」, “숑크 숑크” 바람을 일으킨 Debut De Soiree 의 「Nut De Folie」 등이 그 대표곡이다. MTV 등장은 걷잡을 수 없는 음악의 상업화를 진행 시켰으나, 한편 이에 대한 저항으로 기존의 뮤비를 외 면한 거리의 음악이 탄생, ‘랩’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발전하기도 한다. 그러나 뛰어난 연주를 기반으로 한 록 밴드들이 전 자사운드로 인해 설 땅이 없어지자 언더화 되면서 록 음악이 비주류 음악으로 되는 등 그 부작용이 만만치 않았다. 또, 뮤비의 폭력성·선정성을 문제 삼은 학부모 들이 캠페인을 벌이는 등 사회적 문제도 낳게 된다. 그러나 뮤비의 발달은 음악의 글로벌화를 낳아 단 순한 공급차원을 넘어 뮤지션들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세계적인 스타들의 연대도 가능하게 하였 다. 1984년에는 36명의 영국스타들이 한자리에 모여 ‘Band Aid’란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 음반을 발표하 고, 이디오피아 난민돕기에 전액을 기부하는 자선공연 을 펼쳤다. 이에 고무된 미국스타 45명도 1985년 ‘USA for Africa’를 결성, 『We Are The World』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하며 전 세계에 아프 리카난민 돕기 열풍을 불러일으켰고, 글로벌 음악시대 의 모범적인 사례로서 팝 음악사에 길이 남을 업적으 로 기록되었다. 음악과 세상 ▲ ‌ OST로 큰 인기를 누렸던 영화 「탑건」. ▲ ‌ 아프리카 난민돕기 앨범 『We Are The World』 작업사진.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