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법무사 8월호

『 법무사 』 2015 년 8 월호 83 마거릿 대처의 사례에서 보듯이 보수정당은 ‘사회’라 는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극구 부정하는 것이 유리 하다는 것이다. 사회는 정치가 효력을 발휘하는 영역이 기 때문에 실업·불황·빈곤이 심화되거나 경제가 어려 워져 자살률과 살인율이 올라가게 되면 정당으로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그런 일들을 정당이 책임질 수 있는 영역 바 깥에서 벌어지는 재앙으로 따로 떼어내, 자살이 정당 의 정책이나 사회 조류 때문에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정신질환이나 절망감 때문에 벌어지는 지극히 사사롭고 개인적인 행위라고 우겨야만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실직한 사람들은 실직에 이르기까지의 다양 한 원인들은 외면한 채, 쓸모 있는 사람과 쓸모없는 사 람, 일꾼과 게으름뱅이라는 단순한 이분법을 선호하는 미국 문화 속에서 ‘쓸모없는 인간’으로 분류되며 스스 로 그 사실을 느끼도록 ‘수치심’을 강요받는다고 지적 한다. 바로 이러한 ‘수치심’이 살인과 자살의 심리적 원 인이라는 것이다. “수치심에 휘둘리는 정치적 가치체계는 명예와 수치 의 위계 구조에서 우월한 지위를 놓고 다투는 데 주안점 을 두는 정당을 낳을 것이고 그런 정당이 사회를 자꾸만 위계적이고 불평등한 수치 문화로, 즉 폭력이 일어나기 에 안성맞춤인 세상으로 몰아가리라는 것이야말로 참으 로 수치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저자는 불평등 정책으로 인한 개인의 사회경제 적 추락은 수치심을 강요받고, 그 수치심이 자살과 폭 력, 살인율을 높이는 원인이 되며, 그러한 불평등 정책 을 집권 전략으로 이용하는 정치의 문제를 직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좌우 대립, 보수와 진보의 정의도 아직은 많 은 논의가 필요하지만, 자신의 소속과 견해를 떠나 이와 같은 미국 정치와 관련한 길리건의 정신의학적 진단은, 날로 빈부의 격차로 인한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우리 사회현실에시사(示唆)하는바가크다고생각한다. 이달의 Good Book! 제목은 뭐로 하지? 앙드레 버나드 저 / 최재봉 역 / 모멘토 / 2010.11.15. / 232쪽 정말 아무 고민 없이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책. 유명 작가들의 작품 제목이 어 떻게 결정되었는지 그 사연을 들려준 다. 존 스타인벡의 걸작 「에덴의 동쪽 (East of Eden)」이 창세기의 한 구절에 서 나왔다는 것, 윌리엄 새커리의 「허영 의 시장(Vanity Fair)」은 ‘천로역정’에서 떠올린 것이라는 사실,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 름의 전차(A Streetcar Named Desire)」의 탄생 배경, 윈스 턴 처칠의 연설문집이 미국에서 ‘영국이 잠들었을 때(When England Slept)’라는 제목으로 바뀐 사연 등이 흥미롭다. 한편, 한국 작가들의 작품 제목에 대한 소개도 부록으로 실려 있는데, 김훈이 「칼의 노래」 제목으로 처음 생각한 것 은 ‘광화문 그 사내’라는 타이틀이었다는 것, 박상우의 「샤갈 의 마을에 내리는 눈」은 우연의 일치로 김춘수의 시와 같은 제목을 가지게 되었는데, 정작 샤갈은 ‘눈 내리는 마을’과 같 은 제목의 작품을 그린 적은 없다는 사실 등이 재밌다.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채사장 저 / 한빛비즈 / 2014.12.24. / 376쪽 동명의 유명 팟캐스트 진행자가 집필 한 다이제스트 교양서. 정치제도는 경 제 체제를 무엇으로 할 것이냐는 선택 의 문제라는 것, 진보와 보수의 대비는 우리나라가 채택한 신자유주의의 정책 에 대한 호불호로 나뉜다는 것, 가난하 고 약자인 사람들이 감세와 양극화에 손을 들어 주는 이율배반의 지적, 의무론과 목적론이 윤리 적으로 어떤 대립을 하는지 알기 쉽게 설명한 점, 한국 사 회의 특수한 경험이 체제 중 좌보다 우를 선택하도록 하 는 경향의 풀이 등 이분법적 대비로 역사·정치·경제·사 회·윤리에 대한 대립하는 시각을 아주 쉽고 재미있게 풀 어 쓴 이 책도 즐거운 출퇴근 시간을 보장해 줄 것이다. 법무사의독서노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