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법무사 11월호
82 인문학의창 에 의해 결정된다. 빈부의 격차는 국가분열의 주요원인 이므로 최소화하며 과도한 맹목적 생산 활동은 허용되 지 않는다. 한편, 가장 권력이 있는 통치자와 조력자 집 단을 묶어 ‘수호자 집단’이라 하는데, 이들은 사유재산 을일체가질수없다. 권력자가물질적으로가장손해보는사회, 이것이바 로 이상국가다. 하지만 사람의 본성으로는 사유재산 하 나 소유하지 않고 국가통치에만 전력을 다하기란 불가 능한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어렸을 때부터 그 일에 적합하도록 교육을 받게 된다. 따라서 그 수호자 집단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가가 바로 「국가」의 핵심 (核心)내용이다. 10살이 되면 소년소녀 누구나 교육을 받는데, 부모와 떨어져시골의기숙사로들어가시가와체육교육을받는 다. 체육교육은 사실상 군사훈련이다. 그리고 20대가 되 면 본격적인 수호자 교육을 받기 위한 자격시험을 치른 다. 선발된수호자들은산수, 기하와천문학을배운다. 30세가 되면 다시 시험을 치러 여기서 합격한 이들을 모아 5년간 철학수업에 들어간다. 마침내 나이 50세가 되어 15년의 이 모든 단련과정을 이겨낸 이가 철인 통 치자의자격을얻게된다. 이런 철저한 교육과정을 거쳐 국가구성원들이 각자 에게 적합한 신분에 소속되도록 하는 장치를 갖추면 플 라톤이 생각한 이상국가의 기본 요건을 갖춘 나라가 되 는 것이다. 플라톤이 구상해서 보여주려 했던 이상국가 의 모델이 아름다운 나라, 칼리폴리스(Kallipolis), 가 장훌륭한나라이다. ◆ 이상국가와 네 가지의 중요한 덕(德, Arete) 당시의 통념으로는 공동체든 개인이든 훌륭하다고 하 면다음네가지점에서특장(特長)을지녀야하는데바로 ‘지혜, 용기, 절제, 정의’라는네가지중요한덕(德, Arete) 이그것이다. 플라톤의 ‘아름다운나라’도지혜롭고, 용기 있고, 절제있고, 또한정의로운나라일것은틀림없다. 나라가 지혜롭다는 것은 통치자들이 지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해야 한다. 개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의 영혼의 기능 중 이성이 제 할 일을 잘 해낸다는 것이다. 국가의 통치자가 하는 일에 해당하는 일을 개인은 이 성이 맡고 있다. 그 다음 이상국가에서 용기란 그 나라 군인집단에 해 당하는 덕이다. 개인의 경우는 이성이나 욕구가 아닌 기개(氣槪)와 기상(氣像)을 말한다. 또, 절제가 있는 나 라란 법을 잘 지키는 것이고 개인의 경우는 기개나 욕 구의기능이이성의통제를따르는덕이다. 마지막으로 핵심인 국가에서의 정의란 국가를 구성하 고 있는 각 계급이 자신의 맡은 바를 제대로 처리하며, 갈등을 일으키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사회전체에 속한 덕을 말한다. 나라 전체가 갖추는 덕이라는 점에 그 특 징이 있다. 개인이 갖춘 덕으로서 정의도 마찬가지이다. 영혼의 각 부분이 서로 충동하지 않고 제 기능을 수행 할때한사람이전체로서덕을갖추게되는것이다. 플라톤에 따르면 정의롭지 못한 사람은 기본적으로 병든 사람이다. 그는 정의를 사람이 제대로 사람 노릇 을 하기 위한 ‘존재론적 조건’의 덕이라고 설명한다. 플 라톤의 기준에 따르면 내가 한 국가의 가치 있는 구성 원이 되게 하려면 국가는 내게 할 수 있는 일, 내 적성에 맞는일을주어야한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적성은 당연히 사회전체의 공동 선에기여할수있는것이어야한다는전제가바탕이되 어 있고, 이를 기초로 하여 각자가 그 몫을 해내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정의의 알파이자 오메가 라는것이플라톤의생각이다. ◆ 이상국가의 실현은 가능할까? 그런데, 플라톤이 말하는 아름다운 국가란 과연 실 현 가능한 것일까? 플라톤 스스로도 ‘조롱과 반대’라는 이름의 파도 때문에 ‘어렵다’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우 선 여성의 지위와 관련된 문제의 공격이다. 플라톤의 이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