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법무사 11월호

59 법무사 2016년 11월호 비용의 투명한 공개, 합리적 배분 등 상호 신뢰 구조 만들어야 Q 대형화가 지속성을 가지고 유 지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 법무 사법인이 법무법인과 경쟁력 측면에 서 앞설 수 있는 것은 또 무엇일까? 단순히 큰 사무실에 많은 법무사 가 있다고 대형화는 아니다. 내실이 있어야 한다. 즉, 다양한 업무에 대한 전문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개인사무실은 의 뢰인이 맡기는 대로 일할 수밖에 없 기 때문에 특화하여 한 분야의 전문 가가 되는 일이 쉽지 않다. 하지만 대 형화가 된다면 바로 전문화와 직결 될 수 있다. 또, 대형화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 서는 이익이 창출되어야 한다. 그런 데 이익 창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 은 상호간의 신뢰와 투명성이다. 비 용 지출이나 수익 분배를 비롯해 사 무실 운영 전반을 구성원들끼리 공 유하고 합의를 통해 결정하는 시스 템이 필요하다. 아까도 말했지만 사 무실 기기 비용까지 모두 투명하게 공개해서 합리적으로 배분하는 시스 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일반 국민들은 변호사나 세무사 서의 존재가치가 있을까? 다음으로는 리스크에 대한 두려움 을 극복해야 한다. 법무사업계 로펌 이 어려웠던 이유는 개성이 다양한 법무사들과 다툼 없이 조화롭게 대 형화 사무소를 운영할 수 있을까 하 는 두려움과 시간과 비용 문제일 것 이다. 하지만 인간관계와 시간·비용에 대한 부담은 누구라도 쉽지 않은 문 제다. 나 역시 많은 고민 속에서 결단 을 내렸고, 리스크를 어느 정도 떠안 더라도 누군가는 시작을 해야 한다 는 마음으로 도전한 것이다. 용기가 필요하다. Q 법무사 대형로펌이 변호사 로 펌처럼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법무사에만 특유한 관할 제한이 해결되어야 한다. 노무사나 변호사는 차치하더라도 세무사도 타 관할지역에 지점이나 분소를 내고자 할 때, 그 지역에 등 록된 세무사가 있으면 개설이 가능 하다. 하지만 우리는 2015년 「법무사 법」 개정으로 유한 법무사법인을 만 들 수 있게 되었지만, 법인인데도 불 구하고 다른 지역에 지점이나 지사 를 낼 수 없다. 지점을 다른 지역에 내지 못하는 법인이 과연 법인으로 사무소 프런트 자격사 공간 대한법률정보교육원 공간 사무원 공간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