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1월호

사회정신의학, 사회병리 치유하는 학문 원장님이 정신의학을 공부하셨던 5, 60년대는 우리 나라에 정신의학이라는 개념조차 생소하던 때였는데, 어 떻게 그런 시절에 정신의학을 공부하게 되셨는지요? 저는 학교 때부터 친구들에게 인기도 많았고, 나라와 민족 문제 등 거시적인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아 정치를 하고 싶었어요. 그런데 두 삼촌의 독립운동으로 집안이 몰락한 역사가 있어 아버지가 늘 “정치는 절대 하지 말라”고 하셨죠. 그래서 고등학교 졸업 후 교사가 되려고 했는데, 학교에 서 공부를 좀 한다 하는 친구들이 모두 의대에 간다는 거 예요. 당시에는 군의관이 부족해 의과대학을 가면 징병을 보류해 줬거든요. 저도 친구 따라 강남 간다고 의대를 지원하게 된 겁니 다. 의대에서 정신의학을 하게 된 계기는 집안의 영향 때문 인지는 몰라도 저는 우리나라가 통일이 되었을 때 세뇌된 북한사람들의 의식을 어떻게 변화시켜 하나의 국가로서 정신통일을 이룰 수 있겠는가 하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그래서 당시 미국 예일대학의 리프튼 교수를 무척 좋 아했죠. 리프튼 교수는 중공을 탈출한 사람들을 인터 뷰해서 『토탈리즘의 형성과 심리학』(Reform and the Psychology of Totalism: A Study of ‘Brainwashing’ in China)이라는 저서를 발표해 유명해진 정신의학자인데, 저도 그런 공부를 하고 싶었어요. 그래서 경북대 의학 학사를 마치고 예일대로 유학을 갔 죠. 지금 생각해 보면 그런 게 숙명인가 싶습니다. 이시형 (사)세로토닌문화 원장 감사하는 마음이 ‘행복호르몬, 세로토닌’을 만듭니다 이시형 박사는 용어조차 생소하던 50년대 사회병리현상을 진단하고 치유하고자 하는 ‘사회정신의학’을 전공, 한국인 고유의 ‘화병’이라는 용어를 세계 정신의학용어로 등재한 바 있는 대표적인 정신의학자다. 재담 넘치는 언변으로 대중적으로도 큰 인기를 누렸던 그는 2005년 경기도 화천에 자연치유센터를 설립하고, 자연의학 전도사가 되더니 최근에는 ‘세로토닌 전도’에도 열심이다. 그가 전하는 세로토닌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있을까. 지금부터 그의 인생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그 비밀을 풀어보자. <편집부> 진행•방용규 본지 편집위원장 / 대한법무사협회 부협회장 박형기 본지 편집주간 사진•김흥구 더블루랩 12 인터뷰 만나고 싶었습니다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