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1월호

길은이미 정해져있다고 안주하기에는 인생이무척 길다 어느사이아이들은아버지혹은어머니가이루지못한꿈을대신이루어주는존재가되고 만다. 자기가 살고 싶은 삶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볼 겨를도 없이, 부모의 삶을 대신 살아야 하는우리아이들은과연행복할까. 언제부터인가 우리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갖는 목표가 공무원이 되는 것이 되어버렸다. 요즘 같은 세상에 정년이 보장되고 연금도 보장되는 안심 직종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그런 가하면비교적우수하다는학생들은대기업취업전쟁에나선다. 자기의재능과꿈을살려 젊은 나이부터 창업에 도전하는 다른 나라들의 풍경들과는 거리가 멀다. 그래서 꿈을 잃은 세대가대물림되고있다. 수레바퀴에 깔리며 사는 것은 소년 한스만의 얘기는 아니다. 세 상의수레바퀴는소년, 어른할것없이우리의꿈을짓누르고있다. 오늘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도 녹록치 않다. 경쟁에 치이고 먹 고사는 데 정신없이 살다 보면, 나의 꿈이 무엇이었던가를 잊게 되 는모습은다반사이다. 그래서 “내가바로한스다”라고말할사람들 이많이있을법하다. 하고싶은일을하면서사는사람이그리많지는않기때문이다. 나이가든지금, 우리는자신이원했던삶을살고있는것일까를생각하게된다. 나이가들면기억조차희미해지지만, 우리는저마다의꿈을갖고있었다. 하지만 그꿈대로살아간다는것이얼마나힘든일이었던가. 나의능력이모자란탓도 있었지만, 내가처한환경이허락하지않았고, 때로는등에짊어진짐이너무 무거워꿈과도전을접어야할때가많았다. 그아쉬움은살아가면서두고두고회한으로쌓여간다. 누구나한번밖에는살수없는삶 인데, 이렇게 사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일까. 이것이 내가 원했던 삶이란 말인가. 이렇게 살고 마는것일까. 하지만나이가들어서꿈을되찾는다는것이쉬운일은아니다. 특히가정을갖게된경우 에는자신을위해움직이기가더욱힘들어진다. 부인이어느날갑자기공부하러대학원가 겠다고하면반대할남편들이적지않을것이다. 우리살림에무슨대학원씩이냐, 이제공부 해서 뭐 하려고 하느냐, 그냥 살던 대로 살자. 반대로 남편이 새로운 일을 해보겠다고 말을 문화의힘 사람은무엇으로사는가? 82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