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1월호

나관중의 『삼국지연의』 물러날 때와 나아가야 할 때 최보기 북칼럼니스트 성인 열 명 중 아홉 명이 ‘감명 깊게 읽었다’는 대하소 설이 있다. 아홉 중에는 어린이용 축약본으로 읽은 사 람, 앞의 한두 권 정도 읽다가 그만둔 사람, 아예 읽지 않 았으나 체면상 ‘읽었다’ 하는 사람 등이 끼어 있다. 그럼 에도 열 명 모두가 이 책의 줄거리나 주요 사건, 인물들 에 몇 마디 거들 지식은 가지고 있다. 이 소설을 관통하며 처세의 교훈을 찾아내 수시로 인 용하는 수준의 독자는 전문 연구가일 확률이 높다. 일반 독자가 굳이 이 책의 정독과 이해 여부를 가지고 기죽을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이 책의 제목은 원말명초 시기 나관중이 지은 소설 ‘삼국지연의(삼국지)’다. 설마 이 책 을 모르는 사람은 없으리라. 항우와 유방이 다투던 『초 한지』의 한 대목을 『삼국지』의 한 대목으로 헷갈리는 사 람은 있을지라도. 『삼국지』는 한족의 명나라가 들어선 시점에 쓰인 책이 라 저자 나관중이 한 황실 후예 유비에게 매우 우호적이 다. 때문에 유비는 매우 인덕이 높은 지도자로, 조조는 상 대적으로 비수와 음모에 능한 지도자로 인식된다. 그래서 유비가 삼국통일을 못 한 것을 안타까워한다. 그러나 조 이문열 옮김 민음사 刊 사마의 중달, 「삼국지」 최후의 승자가 된 이유는? 문화의 힘 책에서 깨친 인생 88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