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8월호
(영어의 scholar)를 의미한다. 즉, 여가는 ‘자유’와 ‘학습’의 이중적의미를가진다. 단순히자유로운시간을넘어자기 개발을할수있는시간이바로 ‘여가’인것이다. 여가의차별을낳는노동시간문제 이러한여가의이중적어원은여가의의미변화와도관 련이 있다. 이전에는 여가가 ‘여유시간’을 뜻했다면, 최근 에는 ‘학습’이나 ‘오락’의의미가커지고있는것이다. 또한 때 ‘여가’는 일부 특권계층만 향유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 졌다면, 현대사회에서는일반대중모두가즐길수있는것 으로인식되고있다. 그러나 여가가 인권의 하나로 정착해가고 있고, 그 의 미도 단지 쉬는 것을 넘어 즐기는 시간으로 바뀌고 있다 고 해도 그것을 향유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 다. 우선 전통적 의미의 여가에 국한해 보더라도 모든 사 람이동등한정도의여가를가지는것은아니다. 여가의 총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노동 시간이다. 생존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노동시간이 길수록 여가는 짧을 수밖에 없고 거꾸로 그 시간이 길수록 여가 는길어질수있다. 노동시간의문제를한번짚어보자. “우리는기계가아니다. 일요일은쉬게하라.” 1970년 11월 13일, 청계피복노동자전태일이분신자살 하면서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는 구호와 함께 외친 말 이다. 분신하기 얼마 전 그가 대통령 앞으로 보낸 탄원서 에는 1일 14시간의 작업시간을 1일 10시간에서 12시간으 로 단축할 것과 매월 2일의 휴일을 일요일마다 쉬는 것으 로바꿔달라는요청이있었다. 당시 「근로기준법」에는 13세미만자는보사부취직인허 증을얻은경우이외에는취업을하지못하도록했으며여 자와 18세 미만자는 야간작업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 다. 그러나 1970년대 초 평화시장에는 12평 남짓의 방에 13세부터 17, 18세의 어린 직공들이 이삼십 명씩 밀집해 하루 14시간의노동을하는것을당연시여겼다. 한국노동자의평균노동시간은 1980년대후반부터줄 어들기 시작했다. 1997년 전 산업 노동자의 월평균 노동 시간은 203.0시간, 주당 노동시간은 46.7시간으로 단축 됐다. 또 2000년대 들어서는 주 40시간 근무제가 도입 되면서 2011년부터는 주5일 근무제가 전 사업장으로 확 산됐다. 그리고 지난 7월 1일부터 ‘주 52시간 근무제’를 규정한 「근로기준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주당 40시간을 기본으 로해휴일근무를포함한연장근로를총 12시간까지만허 용하는내용이다. 법 시행 전 12시간의 연장근무와 토·일 각 8시간씩의 초과근무를포함해주당총 68시간의노동시간을인정했 던것과비교하면괄목할만한변화가아닐수없다. ‘주 52시간 근무제’의 시행으로 ‘워라벨’이라는 말이 유 행하고 있는데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의미인 ‘Work-life balance’의 준말이다. 노동시간 축소로 인해 실질임금이 상승하고 여가가 늘어나 삶의 질이 그만큼 높아질 수 있 다는것이다. 2017년프랑스에서 『주4일근무시대』가출간돼화제가 된일이있다. 일본에서도이미기업의 4%가주4일근무 제를시행하고있다. 한국에서는올 4월, 금융노조의단체 교섭 테이블에 점심시간의 휴식과 주4일 근무제가 올라 오기도했다. 노동시간을줄이고, 여가시간을늘리는것은 이제전세계적으로보편적인추세라고하겠다. 여가의소외, 청소년공부시간과주부의가사노동 그러나이러한추세와는무관한집단도있다. 여가보다 는당장의취업과지속적인노동을고민해야하는비정규 직노동자도문제지만청소년의경우상황은더욱심각하 19 법무사 2018년 8월호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