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8월호
강 판사는 2011년 「고용보험법」이 개정될 때 해당 조항이 육아휴직 급여를 받기 위한 필수요건에서 제 외된 점에 주목하며 “국회가 육아휴직 확대에 발맞춰 법을 개정할 때 신청기간을 반드시 지켜야만 급여를 주도록 강제하지는 말자는 ‘입법적 결단’을 한 것”이라 며 “이를 단순한 조항의 위치 이동에 불과하다 보는 것은입법자의의사를외면하는것”이라고설명했다. 그러면서 “공무원이나 군인의 경우 별도의 신청 없 이 육아휴직수당을 지급받는 데 반해 민간 근로자의 육아휴직급여신청을지나치게짧게정한다면불합리 한 차별”이라며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권리를 둘러싼 법률관계는 「고용보험법」이 정한 3년의 소멸시효 제 도만으로도 어느 정도 조속히 안정시킬 수 있다”고 판 시했다. CASE 05 | 전주지방법원 2017노1573 | 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A씨는 2016년 7월 30일 오 전 7시 35분께아침식사로떡국을나눠주는피해자 B 에게 “왜 나한테 반말을 하느냐”고 시비를 걸면서 수 용실앞에서있던피해자에게뜨거운떡국이담긴그 릇을수용실내배식구를통해집어던졌다. B씨는 오른쪽 손목에 경도화상을 입었고 A씨는 특 수상해혐의로기소됐다. 1심에서는 A씨의 행동이 특수상해죄에 해당된다고 봐징역 1년 6월을선고했다. 그러나 항소심 재판부는 다르게 판단했다. 전주지 법 형사1부(재판장 박정제 부장판사)는 특수상해 등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징역 1년 6월을 선고한 1심판 결을파기하고징역 1년을선고했다. 재판부는 “어떤 물건이 ‘위험한 물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사안에서 사회통념에 비추어 그 물 건을 사용하면 상대방이나 제3자가 생명 또는 신체에 위험을느낄수있는지여부에따라판단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교도소에서는 통상적으로 6시경 아침 식사 취사를 마치고 국은 즉시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 관통에옮겨담아뚜껑을닫은상태로보관하다가, 수 용자들이 기상 인원점검을 종료한 7시경에 각 수용동 에 음식물을 전달해 배식하는데, 그사이에 온도가 상 당히 낮아질 것으로 보이므로 A씨가 던진 떡국이 끓 인 직후의 것과 동일한 위험성을 갖는다고 볼 수는 없 다”며 “A씨가 던진 ‘떡국이 담긴 그릇’은 피해자나 제3 자가생명내지신체에위험을느낄수있는위험한물 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면서 특수상해죄가 아닌 상해죄만인정해감형했다. 교도소 수감 중 배식자에게 떡국 담긴 그릇 던져 상해, 특수상해죄 징역 1년 6월 선고 떡국 담긴 그릇, ‘생명·신체 위협’ 느낄 ‘위험한 물건’ 아냐, 상해죄만 인정 1심 판결 파기감형 35 법무사 2018년 8월호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