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9월호

로써과학과신앙, 교회와일반사회간의가치있는조화를이루기를바란다”고밝히며교 회의잘못을인정했다. 갈릴레이가이단으로선고받은지346년만에이루어진일이었다. 우리는 여러 역사적 사건들을 접하며 무엇이 옳고 그른가에 대해 인간의 인식이 갖는 한계를생각하게된다. 우리가지금옳다고믿고있는것은과연불변의진리인가, 그것은 의심하거나 회의할 여지가 없는 것인가. 무엇이 옳고 그른가에 대한 절대적이고 영원한 답은없을수있다. 독선과 불관용이 판치던 시대 한복판에서, 회의주의를 받아 들여지식의한계를인식하고독선과독단으로부터벗어나기위 한 질문들이 있었다. 데카르트는 전적으로 확실한 것이 아니면 어떤 의견에 동의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며, 확실한 인식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회의’를 말했다. 그는 『방법서설』에서 “나는 내 정신이 보통 사람의 정신보다 모든 점에서 더 완전하다 고 주제넘게 생각해 본 적은 한 번도 없다”고 했다. 자기가 믿는 것을 확실하다고 여기지 말고끊임없이의심하고회의해야진리에다가갈수있다는의미이다. 또한 몽테뉴는 『에세』에서 “나는 무엇을 아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끊임없는 자기 의심과회의를통해더바른인식을추구해야함을말했다. 16세기극단의대결시대에던 져진 몽테뉴의 이 같은 성찰 정신은 이후 톨레랑스(tolerance)의 준거가 된다. 나와 다른 생각을포용하고화해할수있는정신말이다. 이들보다 더 일찍, 아테네 시민법정에 섰던 소크라테스는 조용히 살라는 요구를 거부 하며 “‘내가검토없이사는삶은인간에게살가치가없다’고말하면, 여러분은이런말을 하는나를훨씬더못미더워할겁니다”라고했다. 인간다운삶이무엇인가를찾기위해분투했던수많은철학자들은이처럼 ‘성찰’을인간 이지켜야할핵심적덕목으로제시했다. 끊임없이자신을회의하고성찰하는인간이라야 스스로를변화시키고타인들과함께하는삶이가능하다고믿었기때문이다. 반대로 사람이 성찰 능력을 갖지 못하면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으려한다. 자기의생각과다른것에대해서는문을닫아걸고그냥안으로들어가버린 다. 자기의 신념이나 생각만을 절대적으로 옳은 것으로 신봉하고, 그에 대한 어떤 이견도 거부하는사람들을볼수있다. 자기와다른것을인정하지못하고적대시하는것은우리 네가믿고 있는것을 의심하라 문화의힘 사람은무엇으로사는가? 82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