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법무사 10월호

보고있다. 그런데갑자기복도에서발소리가들려왔다. 누군가가나를보고있다. 나는갑자기나의 존재에습격을받는다. 나는갑자기내행동의야비함을온전히실감하며부끄러움을느낀다.” 열쇠구멍을몰래들여다보던나의행동이타자에게들킴으로써비로소부끄러움이생겨나는 것이다. 그렇다면 부끄러움에 관한 나의 자아는 원래 내 의식 안에 들어있던 것이 아니라, 타자 의시선을내가의식하면서비로소발생한것이다. 나는 이렇게 타자의 시선에 의해 나를 부끄러워하게 됨으로써 자아가 만들어지는 계기를 찾 게된다. 나의부끄러움은 ‘타자앞에서자기에대한수치’다. 그래서부끄러움은나를자신의세 계에만갇혀있는존재로놓아두지않고, 타자와의관계속에서반성작용을통해자아를만들어 가는긍정적역할을하는것이다. 그것은나에게는타자와의관계를맺어가는과정이기도하다. 따라서부끄러움은단순히창피한감정에사로잡혀어쩔줄몰라하는것이상의의미를갖고 있다. 부끄러움은 나와 타인, 나와 세상을 연결해주는 다리 같은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부끄러 워할줄아는사람은이미혼자가아니다. 타자의시선을의식함으로써부끄러움이생겨난다는말이꼭내가명백히죄나잘못을저질렀 을때에만해당되는것은아니다. 물론뇌물을받거나성추행같은짓을했다가들통이났을때, 그 사람은세상이나를어떻게볼까하는생각에큰부끄러움을느끼게될것이다. 비리혐의로검찰수사를받다가자살을한사람들이많이있었다. 사회적으로대접받고살던 사람이 하루아침에 파렴치한 범죄자로 언론에 보도되는 데 따른 수치심을 견디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것이다. 하지만 타자의 시선을 의식하는 부끄러움은 내가 특별히 잘못한 것이 없을 때도 무겁게 다가 온다. 세월호참사가있은뒤에우리는자책하며죽은아이들에게부끄러워했다. 그런데사실나 는 세월호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아이들을 버리고 탈출한 승무원들도 나와는 상관없는 사람들 이고, 이윤에눈멀어그런배를출항시킨해운회사도모른다. 아이들을한명도구조해내지못한 정부도나와관련이없다. 하지만나는죄인이된것같았다. 내가아이들을죽인것같았다. 무엇일까. 아이들의죽음에 내가직접관여된것은없지만, 그런죽음을만들어낸이사회를그대로방치해둔공범자일지모 른다는죄책감이우리를사로잡았던것이다. 내가 아이들을 그렇게 죽도록 한 것은 아니었지만, 아이들이 그렇게 죽어가도록 내버려두는 사회에대한책임은내가피할수없는것이었다. 그것은피할수없는우리의죄라고, 나의양심 은말하고있었다. 누가손가락질하며뭐라해서가아니라, 내스스로견디지못하는부끄러움이 생겨난다. 83 법무사 2018년 10월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