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das Sterbliche)라고 했다. 산다는 것은 죽어간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인간은 원래 자 기의 선택과 의지에 따라 세상에 태어난 존재가 아니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신 도 모르게 세상에 던져졌을 뿐이다. 그래서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음 속에 던져진 존재이며, 죽음을 향해 가는 불안한 존재이다. 인간은 끝에 이르면 존재가 사라지고, 끝에 이르지 못하면 전체 존재에 이르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누군지 말하기가 어렵다. 죽어서야 내 모습은 완성된다. 죽음에 대한 불안을 굳이 피할 필요는 없다. 죽음까지 가 는 길을 내 삶을 완성시켜가는 과정으로 받아들일 때, 죽음의 불안은 삶에 대한 의욕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늙어간다는 것이 의미 없는 삶의 유지가 아니라, 마지막까지 나를 원숙하게 성장시켜 가는 과정이라 생각할 때, 남아있는 삶은 여전히 의지와 활력이 도는 시간일 수 있다. 늙 을수록 깊어지고 넓어질 수 있는 나를 만들어가는 노력이 함께한다면 말이다. 이렇듯 죽음이 삶의 완성을 향해 간다는 것은 인간이 나이가 들 수록 성숙해짐을 의미한다. 빌헬름 슈미트는 “사람은 스스로 받아 들일 수 있는 진실만 있어도 평정을 잃지 않고 침착하게 살아나갈 수 있다”면서 “나는 나이 듦에 맞서 싸우느라 모든 힘을 낭비하는 대신, 주름살에 새겨진 삶을 자신 있게 내 앞으로 가져오고 싶다”고 했다. 자신의 삶을 자신 있고 떳떳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만한 노력을 하면서 나이를 먹어간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렇게 이제까지 살아왔던 시간들 속에서의 모습보다 발전된 나의 모습으로 노년을 보 낼 수 있다면, 죽음은 내 삶을 완성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죽음의 의미 는 내가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는 죽음에 대한 생각을 통해 삶을 생각하게 된다. 언젠가는 닥칠 죽음을 나의 것으 로 받아들임으로써 삶의 소중함을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빌헬름 슈미트는 죽음에 대한 해석에 따라 삶의 귀중한 의미가 발견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삶뿐만 아니라 죽음 도 해석의 문제”라고 설명한다. 죽음은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해석은 우 리에게 위안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죽음은 삶을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들어준다. 한정적으로 만 쓸 수 있는 것은 귀중하기 때문이다. 영원한 삶 속에서는 어떤 것도 귀중하지 않다 문화의 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82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