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법무사 1월호

“아침안먹었어?”라는질문을받았다. 만약아침을 먹었다면, ‘아니, 먹었어.’라고, 안 먹었다면? ‘응, 안 먹 었어.’라는 답을 한다. 한국어에선 이게 당연하다. 그 러나 영어에선 전혀 당연하지가 않다. 영어로는 “안 먹었어?”라는 질문에 먹었다면 “Yes, I did. (응, 먹었어)”라고, 안 먹었다면 “No, I didn’t. (아니, 안먹었어)”라고한다. 우리말로읽으면뭔가이 상하다. 이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영어는 상대가 뭐라고 질문을 하던 내가 한 행동, 즉 사실만 생각해 답을 하면 된다. ‘밥 먹었냐?’고 물 었든 ‘밥 안 먹었냐?’고 물었든, 먹었으면 “Yes”, 안 먹 었으면 “No”라고답하면된다. 하지만한국어에선상 대가 질문한 내용에 따라 나의 답이 달라진다. 이에 대해 한 심리학자는 “영어는 정확한 ‘기술’에 목적을두고있고, 한국어는 ‘상호적반응’을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표현했다. 너무 정확한 해석이라 느꼈다. 그리고 (모국어여서 가 아니라) 한국어가 정말 ‘소통’의 가치를 제대로 지 니고있는언어라생각했다. 우리말에서제대로대화 소통은 ‘사실 전달’이 아니다. 상대의 입장에서 반응하라 pre cond ition 3. 를 하려면 상대가 묻는 말을 제대로 이해하는 게 필 요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일까,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러한 ‘상호적 반 응’에 훨씬 더 중요한 가치를 두고 있는 듯하다. 대한 민국에서 벌어지는 소통의 문제들도 대부분 ‘상호적 반응’이 제대로 되지 않아 생기기 때문이다. 도입부에 소개한 연예인들의 문제만 해도 그렇다. 사람들은 ‘어떤 사실 관계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그리궁금해하지않는다. 일단문제는터졌고이걸어 떻게대응하느냐에훨씬더많은관심을쏟는다. 이런 상황에서 ‘억울하다’, ‘결백하다’ 아무리 외쳐도 대중 들의 귀에 들어가지 않는다. ‘상호적 반응’이 아닌 ‘기 술’에만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호적 반응이란 해당 사건으로 인해 피해를 본 사 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것이다. 대중들은 ‘자식 된 도리로 이 문제를 어떻게 할래?’라고 묻고 있는 건 데, ‘난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답만 하고 있는 셈이다. 연예인 본인이 직접적인 가해자는 아니지만 이로 인해불편함을느꼈을사람에대한미안함과문제해 결을위한책임감을드러내주길바라는게대중들이 원하는 소통이다. tvN의 인기예능 「신서유기」의 한 장면을 보자. 말 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 헤드폰을 쓰고 큰 소리 로 음악을 들으며 스피드 퀴즈를 한다. 예상하다시피 ‘전혀’ 뜻이통하지않는, 공허한외침만오간다. 그모 습을보는사람들은서로답답해하는출연자들을보 며 배꼽을 잡고 웃는다. 물론, 극단적인 설정이다. 하지만 어쩌면 우리의 소통도 이런 모습일지 모른 다. 내가 아는 선에서, 내 입장에서만, 상대 감정은 고 려치 않고 사실 전달만 충실한 대화. ‘말’을 하긴 쉽지 만 ‘소통’을 하는 건 어렵다. 그래서 소통에도 연습이 필요하고 노력이 중요하다. 소통이 되려면 결국 마음이 열려야 한다. 상대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중요하다. 그래야 상대를 이해할 수 있고 그 안에서 좀 더 발전적인 대화를 이어갈 수 있다. 83 법무사 2019년 1월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