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법무사 3월호

미스’니, ‘화려한 싱글’이니 하는 수식어를 붙이곤 한 다. 그러나 이렇게 여유 있는 삶을 즐기는 1인가구는 오히려 소수이며, 절대 다수의 1인가구는, 달리 말해 ‘독거노인’을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들은 사실상 부동산의 수요자로서 전혀 기능하지 못하는 계층이 기도 하다. 독거노인들의 주거형태는 무척 열악하며, 고시원이나 여인숙 등의 단칸방에 거주하고 있다. 부동산의 수요단위가 가구 수이고, 이렇게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니 부동산 수요도 늘어난다고 하는 논 리도 단순하기는 마찬가지이다. 가구 수가 아무리 증 가해도 각 가구당 소득이 증가하지 못한다면 시장에 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물론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있으니, 과거와 같은 중 대형 평수의 아파트보다는 소형 평수가 더 인기를 끌 것이라는 정도의 미시적인 예측은 가능하겠다. 그러 나전체부동산시장의수요기반이 1인가구의증가로 인해 늘어났고, 그러니 앞으로 부동산 가격도 상승할 것이라는전망도단순하기는마찬가지이다. 실제로많 은부동산대세상승론자들의주요한논지도이가구 수 증가에 기대고 있다. 인구와가구수로부동산시장전망어려워 둘째 문제는 이미 핵가족화가 크게 진전해 버렸다 는 점이다. 전체 인구수가 정체 상태에 있고, 곧 인구 정점을 찍을 예정인데, 이미 가구는 쪼개질 대로 쪼 개진상황이다. 2017년기준으로 우리나라의 평균가 구원수는 2.3명이다. 베이비붐이절정이던 1970년우 리나라의 평균 가구원 수는 5.2명에 달했지만, 꾸준 히 줄어들면서 이제 여기까지 온 것이다. 2017년 인구총조사 결과를 보면 1인가구가 31%이 고, 2인가구가 31.8%이니, 가구원수가 2인이하인가 구가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여기서 우리나라의 가 1인가구수의증가는부동산시장의변동에영향을미칠수있으나실제우리나라 1인가구의대다수는빈곤한고령 1인가구라는점에서가구수가부동산시장변화의주 요요소는 아니라고 볼수 있다. 사진은 2016.9.8. 서울종로구 탑골공원을 찾은한노인이지팡이를짚으며 어디론가걸어가고 있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17 법무사 2019년 3월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