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에서 온라인 홍보를 피해갈 길은 없었다. “그렇게 유튜브를 시작하게 된 거예요. 처음에는 블로그를 시작해 두 달 정도 운영하다가 곧 유튜브로 방향을 바꿨죠.” 폭발적인 성장세 유튜브, 그에게는 큰 도전 최근 ‘유튜브(Youtube)’는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앱 분석기 관 와이즈앱이 지난 2018.11.1.~30. 안드로이드폰 사용자 3122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한국인이 한 달간 가장 오래 사용한 모 바일 앱은 네이버도, 페이스북도, 카카오톡도 아닌 바로 ‘유튜브’였다. 한국인의 유튜브 한 달 사용시간은 총 317 억 분으로, 4위 페이스북(39억 분), 3위 네이 버 (126억 분), 2위 카카오톡(197억 분)에 비 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검색포털인 네이 버보다 유튜브를 사용하는 시간이 거의 3배 가까이 많았다. 전문가들은 유튜브가 이렇게 폭발적인 상 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유튜브만의 독특 한 특성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유튜브는 페 이스북이나 카카오톡 등과 비슷하게 서로 정 보를 공유하며 댓글과 공감을 통해 소통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능뿐 아니라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검색 포털이 가진 ‘키워 드 검색’ 기능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키워드 검색 기능은 ‘구매전환율’과 직결되 는, 비즈니스적으로는 매우 위력적인 기능이 다. 누군가 포털에서 “법무사 상업등기”라고 검색한다면, 그 사람은 법무사를 찾아가 상업 등기사건을 의뢰할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인 구매의사를 가진 고객이란 의미가 된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잠재고객을 끌어들이 는 유튜브가 매력적인 마케팅 공간일 수밖에 없다. 한편, 사용자들에게는 글보다 보기 편 한 동영상 검색으로 원하는 정보도 찾고, 그 정보에 대해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교류도 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장점을 갖춘 채널이다. 김 법무사가 블로그에서 유튜브로 홍보의 방향을 바꾼 것은 매우 적절한 결정이었던 것 이다. “조찬모임에서 만난 온라인 마케팅회사 CEO의 도움을 받아 몇 달 동안 어떤 온라인 채널을 선택할 것인지 많은 논의를 한 끝에 선 택했어요. 블로그를 하는 변호사나 법무사는 많았지만 유튜브는 거의 없었거든요. 블로그 47 법무사 2019년 3월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