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법무사 4월호

는 어느 정도일까. 아마도 5단 장주(長酒)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 주도 삼매에 든 사람이다. 이십여 년 전, 그가 술을 한창 마시던 때에는 십중 팔구 최소한 3차는 넘겼다. 이처럼 불콰하게 취해 주 도 삼매에 들어설라치면 그는 이백의 시구를 성경 말 씀처럼 읊조리곤 하였다. “모름지기 한번 마셨다 하면 삼백 잔은 마셔야 하 느니.” 그 당시 그는 알코올 중독자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 니었다. 매일 술을 마셨고, 매일 자정을 넘겼다. 누군 가를 집요하게 잡아서 함께 마셨고, 주로 내가 최후 까지 살아남아 그와 대작을 하였다. 그러던 그가 어 느 날 갑자기 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신학대학원 에 입학하였다. 입학 초기엔 술도 가끔 마셨는데, 한 일 년 정도 지 나자 술을 완전히 끊었다. 그야말로 환골탈태한 것이 다. 살다 보면 이처럼 서쪽에서도 해가 뜨는 법이다. 별명이 예언자였을까.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그는 목 사안수를 받고 개척교회 목사님이 되었다. 오후 들어 날이 흐리고 바람이 세차게 불자 가로수 벚꽃이 추풍낙엽처럼 떨어졌다. 꽃잎 진 자리에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초조한 마음에 발길을 재촉했 다. 흩날리는벚꽃과함께우리포차에들어섰다. 유리 창에 정 목사의 넓은 이마가 반짝였다. 내가 자리에 앉자마자정목사는간질거리는입을더이상못참겠 다는 듯이 속사포처럼 말문을 열었다. “어서 오게. 오늘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는가? 오 늘은 내가 쏘지. 물론 나는 술을 마시지는 않겠지만.” 내가꾸어다놓은보릿자루처럼멀뚱하니쳐다보기 만 하자 그는 마침내 기쁜 소식을 선포하였다. “내가 드디어 박사학위를 땄다네. 하하하…!”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알코올 중독 상담」이었다. 그는 습관성 알코올 중독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이제 는중독자를치유하는카운셀러가된것이다. 목회자 로서 말이다. “내 박사학위 논문 머리말에서 밝힌 바 있지만, 임 소장도 잘 알다시피 나도 한때는 알코올 중독자가 아 니었는가베. 나도노력을무척했었다네. 하지만그마 귀 같은 소굴에서 벗어나려고 아무리 발버둥 쳐봐도 하루 업무를 마친 저녁에는 어김없이 술집에 앉아 있 곤 했지. 그런데 신기한 것이, 신학대학원을 다니면서 점차술을멀리하게되었다네. 그러다가어느날갑자 기 하나님의 은혜를 입고 스님의 돈오돈수처럼 갑자 기 술을 끊어 버린 거야.” 물론 나도 잘 알고 있다. 그가 얼마나 치열하게 술 과의 전쟁을 벌였는지를. 그는 자신이 알코올 중독자 라는사실을결단코부인했었다. 술로인해그의몸과 마음이 허물어져 가고 있었음에도 그는 다만 애주가 일 뿐이라고 소리 높여 변명하였다. 그가 쉽게 알코올 중독에서 벗어나지 못한 점에 대 하여는나에게도일말의책임이있었다. 그는이제나 를 알코올 의존증 환자로 간주하며, 그 관대한 상담 의 손길을 내밀었다. “임 소장도 이제는 술에 대해서 인식의 변화라고나 할까, 좀 거창하게 말하면 패러다임의 변화라고나 할 까, 그런 것이 필요할 것 같은데…. 자네는 기독교 신 자가 아니지만,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알코올 중 독자는 알코올의 노예가 되어 하나님과 단절된 채 영 적으로 병들어 있는 상태라는 거지.” 아, 얼마나많은동서고금의시인묵객들이술에대 86 문화가있는삶 + 콩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