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법무사 6월호
그래서 「국제법」 대신 「민사집행법」을 전공필수 과 목으로하자고제안했지만거부되었어요. 가끔씩대학 은누구를위해존재하는지의문이들때가있습니다. 살아있는 실무 강의, 강의만족도 매우 높아 사회 대학교에서 법무사 강사에 대한 평가와 학생들 의 강의 만족도가 궁금하네요. 그리고 강의 평가 시 스템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용되나요? 김봉석 법무사의 강의는 언제나 실무가 중심이 되니 까재미있고유익하죠. 강의에대한학생들반응이좋 을 수밖에 없어요. 학생들 외 교수들이나 관계자들의 법률상담도 다 받아주고 하니까 인기가 많습니다. 심 지어 건국대에서는 학교 재단등기까지 제가 맡아서 했으니까요(웃음). 수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이라고 한다면, 학생들이 교수 강의를 평가하는 시스템이 있는데 시 험을치른후온라인상에서성적을열람하려면그전 에 반드시 강의평가를 하도록 자동 설계가 되어 있습 니다. 수업평점은 1점~5점으로 나뉘는데 저는 20년 크게 신경쓰지 않았습니다. 이수영 저는 토요일에도 강의가 있어 시간적으로 제 약이더많습니다. 그밖에는아이들의성적을평가하 는 일이 힘들 때가 많습니다. 요즘 학생들은 취업 때 문에 성적에 아주 예민한데, 절대평가가 아닌 상대평 가라 A⁺를 줄 수 있는 학생 수가 한정되어 있어 성적 때문에 울고 웃는 난처함에 부닥칠 때가 있거든요. 일전에한학생이성적평가후에제가준성적때문 에더이상학교를다닐수가없게되었다고연락을해 서 마음이 너무 아팠습니다. 박성민 특별한 애로사항은 없는데, 다만 지방대라서 그런지는몰라도대학의보수성, 변화가없는점이답 답할때가많아요. 시대의변화나학생들의이해에따 라 커리큘럼 같은 것도 변화가 필요한데, 그런 변화가 너무나 어렵습니다. 제가가르치는과목이 「민사집행법」인데, 전공선택 과목이에요. 원하는학생들만듣는거죠. 하지만 「국 제법」은 전공필수 과목으로 누구나 들어야 해요. 사 실 학생들이 대학 졸업해서 「국제법」 쓸 일이 얼마 나 있겠습니까. 하지만 「민사집행법」은 가장 실용적 인 법이잖아요. 금전적인이유때문이라면권하고싶지않습니다. 그시간에법무사업무를하는것이훨씬이익이죠. 하지만, 개인적인경험을쌓고, 인생의여유, 삶의재충전과같은 가치에둔다면적극권하고싶습니다. 저는강의를하고나면스트레스가풀려요. 제인생에큰도움을주죠. 김병학 법무사 · 한국외대 겸임교수 역임 12 만나고싶었습니다 + 좌담회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