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법무사 10월호

3S 3. S uggestion (대안제시) 마지막은 3S 중 가장 중요한 ‘Suggestion(대안 제 시)’이다. 업무 요청을 받으면, 이걸 받아들일까 거절 할까를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 이 둘 말고 다른 방법 은 없는 걸까? 최근 발간된 『거절 잘해도 좋은 사람입니다』라는 책의 저자는 거절에 대해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야 한다고 말한다. 거절할까 받아들일까 2가지 선택 만이 있는 게 아니다. ‘상황이 어떻게 바뀌면 이걸 거 절하지 않을 수 있을지’, ‘일을 하는 방법이 바뀌면 거 절하지 않고 해낼 수 있을지’와 같이 프레임을 바꿔 생각해 보라는 거다. 생각의 프레임을 바꾸면 나와 상대방 모두 선택지 는훨씬많아진다. 일정을바꿔볼수도있고, 다른사 람과 협업을 통해 일을 해낼 수도 있다. 물론 항상 거 절하지 않고 상대방을 만족시킬 수 있을 만한 대안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상대에게 당신의 요청을 들어주기 위해 내가 이만큼 고민하고 노력했다는 진 심은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 위의상황에서대안을제시해본다면? 생산팀과얘 기해원인파악을위한일정을조정할수도있고, 프로 젝트 발주자인 팀장에게 상황을 알리고 프로젝트 업 무 대신 원인파악을 먼저 할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대안들이 나올 것이다. 긍정적인표현이있어야거절을받아들인다 옛말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라고 하듯이 커뮤니 케이션에서 중요한 건 ‘같은 내용이라도 표현을 어떻 게 하느냐’다. 「골목식당」이라는 TV프로그램에서 백 종원 대표는 식당의 문제점을 개선해 주기 위해 쓴소 리도 서슴지 않는다. 어떤 사장님은 백종원에게 무작 정신메뉴개발을해달라고요청하기도한다. 그런상 황에서 백종원의 표현 방식 덕분에 그가 ‘단호하게’ 거절을 해도 상대방과의 관계는 전혀 상하지 않는다. 거절을 해도 결과적으로는 백종원에게 고마워하기 까지 한다. 도대체 무슨 비법이 있는 걸까? 신메뉴 개 발을 요청한 상대방에게 그는 “그건 내 역할이 아니 다. 사장님이 해야 할 일이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대 신 이렇게 말한다. “사장님 가게를 확 띄울 만한 기발한 메뉴를 갖고 싶은거이해한다. 나도장사할때몇년동안메뉴때 문에 고민을 했었다(Sympathy). 미안하지만 메뉴 개 발은내가해줄수없다. 이집만의고유한매력을살 리고, 사장님이직접고민하고개발해야더애착도간 다. 사장님을위해서라도내가직접메뉴개발은안한 다(Sorry). 다만, 사장님이고민해서메뉴를가지고오 시면 내가 아이디어를 더해 줄 수도 있고 더 좋은 쪽 으로 고쳐 줄 수도 있다(Suggestion).” 이렇게 말하기 때문에 요청에 대해 거절을 당했지 만 상대방은 백종원의 의견을 받아들인다. 물론 관계 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 사람은 긍정적인 표현을 해주지 않을 때 부정적인 내용을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그것이 내게 도움이 되 는말이라도그렇다. 거절과같은부정적인내용을말 할 때 반드시 표현에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다. 3S 중 가장 중요한 것은 Sugge stion(대안 제시)이다. 상황이 어떻게 바뀌면 이걸 거절하지 않을 수 있을지, 프레임을 바꿔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그러면 선택지가 훨씬 많아지고, 상대에게 당신의 요청을 들어주기 위해 내가 이만큼 고민하고 노력했다는 진심은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 81 법무사 2019년 10월호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