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법무사 2월호

높다. 법률 분야 역시 마찬가지다. 퍼스널 브랜드의 목적과 방향 즉, 전략을 세웠다면 이를 구체화해야 한다. 나의 사업을 정확하게 설명하 는 ‘브랜드 콘셉트’ 혹은 브랜드 설명문을 만들어야 한다. 설명문을 바탕으로 브랜드를 표현하는 멋진 슬 로건도 개발해야 한다. 예를 들어, 법률서비스 중에서 특수법인 설립을 전 문적으로 서비스하고 싶다면 ‘경제적이고 신속한 특 수법인 설립 전문 법무사’로 포지셔닝 할 수 있다. 전문성 확보는 기본이다. 전문성은 나를 차별화할 수있는상품이다. 전문성은전체가아니라틈새영역 으로 특화해야 한다. 해당 분야의 사건을 맡아 경험 을 쌓으며 집중해야 한다. 실제 업무를 통해 쌓는 전 문성이훨씬강력하다. 문제는얼마나집중할수있는 가 하는 것이다. 적어도 3년은 열정을가지고 집중해야 전문성이확 보되고 신뢰가 쌓인다. 변화경영 전문가 구본형 소장 은 “왜 3년일까? 참고견딜수있는가장긴시간이며, 성과를 낼 수 있는 가장 짧은 시간이기 때문이다.”라 고 한 바 있다. 3년 정도 혼신의 열정을 바치면 자기 브랜드를 만 들수있다. 그런데시장에는항상경쟁브랜드가있게 마련이다. 어떻게차별화할것인가도생각해야한다. 마케팅은 전략기획과 실행을 통해 지속적이고 일관 된커뮤니케이션을할때마법의힘을발휘하는순간이 온다. 그리고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워야 한다. 매년 혹은매월실행계획에따라마케팅활동을해야한다. 마케팅 전에 먼저 고객의 욕구를파악하라 마케팅만하면대박이날텐데돈이없어서못하고 있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돈을 대주면 마케팅을 잘 할수있을까? 이때마케팅은과장광고나허위광고와 같은방법으로라도고객을속여 이익만 많이 내면된 다는뜻일것이다. 제대로된마케팅은입발림이아니 다. 진짜마케팅은고객의욕구를충족시키는것이다. 그리고 고객의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고객의 욕구란 고객이 느끼는 어떤 결핍이다. 고객 은 그 결핍을 충족시키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니즈’ 라 한다. 욕구는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만족이 결핍됨 을 느끼는 상태로서 ‘근본적인 욕구(needs, 필요)’와 근본적인 욕구를 구체적인 상품으로 표출하는 ‘구체 적인 욕구(wants, 요구)’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가 고픈 것은 근본적인 욕구(니즈)고, 햄버거를사는것은구체적인욕구(원츠)다. 개인회생 신청은구체적인욕구고, 이를통해삶의질을높이는 것은 근본적인 욕구다. 결과적으로 고객은 자신의 결 핍을 해결할 수 있는 구매 활동을 통해 욕구를 충족 시킨다. 마케팅을 단순화시키면 고객의 결핍된 욕구 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고객의 욕구, 즉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 인지, 어떤결핍이있는지를찾을수만있다면마케팅 은 쉽게 할 수 있다. 니즈 파악 혹은 니즈 분석이라고 한다. 스티브잡스는 “사람들은직접보여주기전까지 무엇을원하는지모른다.”라고했다. 니즈를파악하기 78 현장활용실무지식 성공하는브랜드만들기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