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법무사 6월호
젊은이들이여, 농대로가라! 세계적인 투자자 짐 로저스(Jim Rogers)는 2014년 서울대학교의 한 강연에서 “젊은이여, 농대로 가라!” 며미래농업의중요성을강조한바있다. 세계적인농 촌 고령화 및 인구 증가로 인한 농경지·식량 부족 사 태로향후식량산업이가장유망한미래산업이될것 이라는 예측에서다. 저출산 인구절벽 위기에 있는 우리로서는 다소 의 아할 수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인구는 지속적인 증 가추세에있다. 글로벌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의하면 현재 세 계인구는 77억 명을 돌파했다. 2023년에는 80억 명, 2055년에는 100억명에이를것이전망된다. 이러한 인구증가와 농업인구 고령화를 비롯해 인 구구조의 변화, 세계화로 인한 식문화의 급격한 변화 및 환경오염으로 대두되는 농산물 안전 문제와 전염 병·자연재해로 인한 농산물 유통, 가격 대란 등 앞으 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한둘이 아니다. 이번 호에서는 전 세계가 이러한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어떤 농업 혁신들을 이루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 농업의 바람직한 미래에 대해 퓨처마킹(future marking)해 보자. 농업의 6차산업화, ICT기술접목한농업의미래전략 일본의 농경제학자 이마무라 나라오미(今村奈良 臣)는 침체되는 농업의 새로운 부흥을 위해 ‘6차산 업’ 개념을 주창한 바 있다. 농작물을생산하는 1차산업(농림수산업)으로그칠 것이 아니라 2차산업(제조가공업)과 3차산업(유통· 관광서비스업)을 융·복합하는 ‘6차산업’으로 만들어 농업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정부도이러한6차산업전략을적극적으로도 입해 현재 농림축산식품부의 핵심 농업정책 중 하나 로삼고있다. 이러한 6차산업의기초가되는것은역 시 모든 산업에서 진행 중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igital Transformation)이다. ▵생산 영역에서 스마트팜과 자율주행 트랙터, 농 약살포및농작물생장분석드론등의활용과▵제조 가공 영역에서 식품가공을 위한 스마트공장과 빅데 이터를 활용한 상품개발, ▵유통서비스 영역에서 블 록체인을 통한 안전한 먹거리 유통과 모바일을 통한 농산물직거래 및 체험숙박 상품 서비스플랫폼의 발 전 등이 6차산업에서의 DT로 꼽히고 있다. 특히 향후 농업경쟁력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역 량으로 꼽히고 있는 것은 ‘스마트팜’이다. ‘스마트팜’ 세계적인농업인구고령화와인구 증가로식량부족사태가예견되면서 농업이미래유망사업으로부각중이다. ICT 기반의융·복합 6차산업화가 농업의미래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는가운데, ICT기술로온·습도, 일조량등을 맞춰재배하는 스마트팜과물·영양분만으로 농작물을재배해 집이나사무실에서도농사가가능한도시농업이활성화되고있다. 또, 수확로봇의발전과바이오캡슐을이용한축산업의 ICT화 및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농산물의투명한관리까지, 혁신을거듭하고 있는농업은 이제청년들이도전해볼만한산업이되었다. 21 법무사 2020년 6월호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