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법무사 7월호
용되는것일뿐, 법제2조후문에서말하는 ‘주거용건 물의일부가주거외의목적으로사용되는경우’에해 당한다고볼수없다. ● 【대법원1996.4.1.선고96다5971판결】 건물 중 1층이 공부상으로는 소매점으로 표시되어 있으나실제로그면적의절반은방(2칸)으로, 나머지 절반은소매점등영업을하기위한홀로이루어져있 고, 피고가이를임차하여가족들과함께거주하면서 음식점영업을 하며 방 부분은 영업 시에는 손님을 받 는 곳으로 사용하고 그때 외에는 주거용으로 사용하 여 왔다면, 위 건물은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보호대상 인주거용건물에해당한다. ● 【대법원1987.4.28.선고86다카2407결정】 건물은 당초부터 여관, 여인숙의 형태로 건축되었 고피고는전소유자인경남으로부터여인숙을경영할 목적으로 임차하여 방 10개 중 현관 앞의 방은 피고 가 내실로 사용하면서 여관, 여인숙이란 간판을 걸고 여인숙 업을 경영할 경우에는 법이 정한 주거용 건물 에해당하지아니한다. ● 【대법원1995.3.10.선고94다52522판결】 건물은 공부상으로는 단층 작업소 및 근린 생활시 설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주택으로도 이용되 고 있는 단층건물로서 격벽으로 구분되어 각 독자적 인 출입구를 가진 6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갑 은 주거 및 인쇄소 경영 목적으로, 을은 주거 및 슈퍼 마켓 경영 목적으로, 각기 위 6개 부분 중 하나씩을 임차하여 가족들과 함께 입주하여 그곳에서 일상생 활을 영위하는 한편, 인쇄소 또는 슈퍼마켓을 경영하 고있으며, 갑의경우는주거용으로사용되는부분이 비주거용으로 사용되는 부분보다 넓고, 을의 경우는 비주거용으로 사용되는 부분이 더 넓기는 하지만, 주 거용으로사용되는부분도상당한면적이다. 위각부 분은 그들의 유일한 주거이므로 법 제2조 후문에서 정한주거용건물에해당한다. 03 주택임차인의대항력과대항요건 가.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대항력'의 의미 부동산경매절차에서의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임차권은 경매절차에 의하여 소멸하게 되는 최선순 위 저당권(압류, 가압류 포함)보다 먼저 등기되었거나 그 전에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다. 「주택임대차보호 법」 상의대항력은임대인의지위가승계된다는의미 이다. 임대인지위의승계는법률상의당연승계이므로양 도인이나 양수인에 의한 양도사실의 통지 혹은 임차 인의 승낙 등은 불필요하며, 양수인의 권리취득의 원 인은 매매·증여 등의 법률행위이든, 상속·경매·체납 처분에 의한 공매 등의 법률의 규정에 의한 경우이든 상관없이모두포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임대인의 지위의 승계가 있을 경 우, 임대차보증금반환채무도 부동산의 소유권과 결 합하여 일체로서 이전하는 것이므로 종전 임대인(양 도인)의 보증금반환채무는 소멸한다는 것이 대법원 의 확립된 판례다(대법원 1993.7.16.선고 93다17324 판결). 대항력이있는임대차가종료한후임대차보증금을 반환하기전에임대주택이양도된경우에도임대차보 증금을 반환하기 전까지는 여전히 임대차가 존속하 므로, 이경우에도임대차의지위가승계된다. 나. 매각에 의하여 소멸하는 선순위 저당권 등이 있는 경우 강제집행이나후순위저당권의실행으로임차주택 이매각되어선순위저당권등이소멸하면비록후순 72 현장활용실무지식 법무사실무광장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