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법무사 10월호
인 자기결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입니다. 두 번째는 ‘사회적 관계의 아름다운 마무리’입니다. 오랫동안 삶을 같이해온 사람들과의 추억을 정리하 고, 화해의 시간을 통해 죽음이 슬픔과 상실의 시간 이 아니라 삶을 진정하게 완성케 하는 시간이 되도록 하자는 것으로, ▵엔딩노트 작성이나 ▵장례·장묘 문 화의 개선, ▵유언장 쓰기 활성화 등의 운동을 펼치 고 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는 ‘정신적·물질적 유산의 아름다운 마무리’입니다. 죽음은 육체적 생명의 소멸일 뿐, 정신 적·물질적 유산을 통해 나를 기억하고 사회에 기여하 도록 하자는 운동인데, 예를 들어 ▵성년후견제도의 활성화, ▵유산기부, ▵유품사전정리등이있습니다. 시민운동이 발족한 지 2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그 동안 3가지실천과제를위해여러사업들을해왔습니 다. 웰다잉 관련 강연이나 토크콘서트, 캠페인 등 웰 다잉 문화를 조성하는 사업들과 웰다잉 전문가 교육 훈련지원, 종합정보지원센터구축, 웰다잉시민운동본 부 설립 등 웰다잉 종합지원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 들, 그리고 「웰다잉 기본법」 입법운동 등 웰다잉 제도 개선을위한정책개발사업등을진행하고있습니다. ‘웰다잉시민운동’에서 제시한 3가지 실천과제가 웰다잉에 대한 포괄적인 개념 정리와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잘 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그 에 비해 국민적 관심과 인식은 많이 부족한 상태인데, 활동에어려움은없으신지요? 우리 사회가 고령사회에 접어든 지 10년이 지났고, 앞으로5년후면초고령사회에접어듭니다. 이것이얼 마나심각한일인가하면, 가장짧은기간에초고령사 회로진입하는세계적인신기록을세우는것이에요. 국민의 20%가 삶을 마무리하는 시기가 곧 오는데, 당사자는 물론이고 우리 사회도 그를 위해 무엇이 필 요한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전혀 전파되지 않고 있 습니다. 그 단적인 예가 바로 유언장 작성입니다. 미국사람 들의 56%는 유언장을 작성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 1%도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삶의 마무 리 과정에서 내가 평생 모은 귀한 재산을 어떻게 정 리하겠다는 유언을 증서로 남기지 않다 보니 부모자 식, 형제자매 간에 유산분쟁이 일어나 소송으로까지 비화되는 등 안타까운 일들이 많이 벌어지고 있어요. 미국사람들이 유언장을 많이 쓰는 건 우리보다 재 산이많아서그런것이아닙니다. 내가결정하는삶의 마무리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생활문화를 갖 고 있기 때문이죠. 우리에겐 그런 문화가 없으니 활동에 힘든 점도 있 지만, 그렇기때문에더욱사람들이웰다잉문제에대 해 생각해 보고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 해 열심히 홍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언장 작성, 당사자에게도 좋지만 법무사에게도 블루오션 유언장 작성과 관련해 유산기부 운동도 주요한 실천과제가될것같은데, 우리나라는여전히혈 연중심사상이 강하고 기부에 대한 제도적 기반도 잘 되어있지않아이문제도쉽지는않을것같습니다. 이제는 유산기부에 대한 생각이 이전과는 달라지 는 환경이 되었다고 봅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예 전에는 평생 열심히 일해 모은 재산을 자녀에게 상속 해도 자녀들이 잘산다는 보장이 없었어요. 하지만 지 금은장수시대가되어재산을물려줄때가되면이미 자녀들은 중장년층이 되어 자신의 경제활동으로 축 적한 재산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잖아요. Q Q 12 만나고싶었습니다 인터뷰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