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법무사 12월호

다양한 일을 하는 대표적인 N잡러가 되었다. N잡러는 20~30대 젊은 층이 주를 이룬다. 이들은 ‘평생직장’에 대한 기대 없이 사회생활을 시작했고, 회사가 어려워지면 언제든 새 일자리를 구할 마음의 준비가되어있는세대다. 개인의재능을사고파는각 종온라인플랫폼활용에도능숙하고, 블로그나페이 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와 유튜브, 팟캐스트 등 1인 방송 매체들도 적극 활용할 줄 안다. 국내의 대표적인 재능마켓 플랫폼인 ‘크몽’의 박현 호 대표는 “크몽 판매자 8000여 명 중 대부분은 20 대중후반에서 30대다. 이중 74%인 6000여명은사 업자등록이 안 돼 있다. 크몽에서의 재능판매 활동 을 본업이 아닌 부업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라 고 밝혔다. 필자역시 10년전직장을퇴사하고한가지직업이 아닌강사, 작가, 블로거, 창업컨설턴트, 유튜버등다 양한 일을 하는 N잡러가 되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상반기 강의 일정들이 대거 취소되거나 보류되면서 시간적 여유가 많이 생겨 21세기 재택 부업으로 떠오 르고 있는 ‘데이터 라벨링 프로젝트’에 참여해 ‘데이 터 라벨러’라는 또 하나의 직업을 갖게 되었다. 데이터라벨러는인공지능(AI) 학습에필요한데이 터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작업을 전문으로 하는 새로 운 직업군이다. 최근 딥러닝 데이터 구축 플랫폼 ‘크라우드웍스’에 서는 국내 데이터 라벨러들의 활동 현황과 실태를 분 석한 「2020 데이터라벨러현황보고서」를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관련업계에서는 국내에서만 20만 명 이 상이현재데이터라벨러로종사중인것으로추정하 고 있으며, 국내에서 활동 중인 데이터 라벨러 2,611 명을대상으로한온라인설문결과이들중 43.8%는 평범한 직장인들로 나타났다. 한편, 컨설팅기업 맥킨지는 오는 2025년까지 단기 일자리 형태의 긱(Gig)경제 2) 가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약 2%에 해당하는 2조 7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전 세계 5억 4000만 명 정도가 단기 일자리를 통해 실 업기간 단축이나 추가소득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리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고용 동향」에 따르 면, 근로시간이짧아지면서지금보다더많은일을하 고 싶어 하는 ‘시간 관련 추가취업 가능자’는 62만 9,000명으로 2017년 대비 10.3% 증가했다. 통계가 시작된 2015년 50만 4,000명과 비교하면 4년 새 10 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이처럼 노동시장의 트렌드가 변화하면서 이제 ‘평 생직장’은 옛말이 되었다. 능력과 개성에 따른 ‘평생 수입원’을찾는이들의증가로인해앞으로 ‘N잡러트 렌드’는 꾸준한 상승세를 탈 전망이다. 창직, 불확실성시대의생존능력 누구나 자신이 가진 개성과 재능을 사고팔 수 있는 N잡러의 시대가 열리며 스스로 직업을 만들어내는 ‘창직’의 세계도 확장되고 있다. 여러분은몇개의직업을알고있는가. 알고있는직 업들을 나열해 보라고 한다면, 아마도 100개를 넘기 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현재 『한국직업사전』에 등재된 직업의 수는 1만 1440개에 이른다. 하지만 일본은 2만 5000개, 미국 은 3만 654개에 이르고 있는 것을 보면, 아직 한국에 없는 직업이 2만 개 이상이나 된다는 것이다. 그럼에 도대한민국직장인들이원하는자녀의직업중여전 2) 긱이코노미(Gig Economy) : 기업들이정규직보다필요에따라계약직혹은임시직으로사람을고용하는경향이커지는경제상황 26 법으로본세상 곧다가올미래, 12가지안내서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