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법무사 4월호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친을 일찍 여읜 그는 가장으로 어머니를 극진하게 봉양했다. 38세 늦은 나이에 위수를 시작으로, 영남지역의 하양, 청아 현감을 지냈다. 80세에 는 종3품 첨지중추부사로 승진하여 당상관이 되었다. 정선이 태어난 백악산과 인왕산 자락은 문인들의 집단 세거지로 조선시대 후기의 진경문화를 주도한 산실 이었다. 일찍이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1653~1722)의 문하에 들어간 겸재는 진경시의 대가 사천(槎川) 이병연 (李秉淵, 1671~1751), 선비이자 화가인 관아재(觀我齋) 조 영석(趙榮 1686~1761)과 성리학을 배우며 ‘진경시대’를 이끈다. 이병연과는 평생 시와 그림을 주고받으며 화업 을 다졌다. 진경시대는 숙종(肅宗, 재위 1674~1720)부터 정조 에 이르는 조선시대 후기를 일컫는다. 이 시기는 조선 고 유의 색과 정신을 불어넣어 표현한 우리 문화를 꽃피운 황금기로 통한다. 한글문학이 유행하였고, 판소리가 장 안에 울려 퍼졌다. 그림은 우리의 풍토를 담은 산천을 그 렸다. 진경산수화는 화가들이 경치를 보고 마음에서 우 러난 감정을 표현한 것이다. 17세기 후반,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1651~1708) 과 김창흡 형제가 산수기행문학을 태동시켜 18세기에 이르면 관동과 금강산 등을 그린 기유도(記遊圖) 형식이 크게 유행하는데, 그 중심에 정선이 있었다.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에는 많은 시인 묵객(墨客)들이 찾아가 시를 짓거나 그림을 그렸다. 화가들은 명승지를 유람하고 그 린 그림을 모아서 그림첩을 만들었다. 미점준, 미파준 기법으로 봄 정취 물씬 살려 조선시대에는 인왕산을 ‘필운산(弼雲山)’으로 부르 기도 했고, 필운대는 사직단 뒷길로 이어지는 지금의 배 화여자고등학교 본관 뒤뜰에 있는 암벽으로 된 ‘돈대’를 지칭한다. ‘돈대’는 하천 범람에 대비하여 주위보다 높고 평평하게 축대를 쌓은 대피시설이다. 조선 후기 필운대 는 최고의 봄놀이 장소였다. 「필운대상춘도」는 사직동에서 인왕산을 오르며 필 운대를 내려다본 풍광이 파노라마식으로 전개된다. 나 무에 연둣빛 물이 오르고 살랑이는 바람이 꽃구경 가자 고 선비들의 옷자락을 이끈다. 마음이 통하는 벗들이 모 여서 걷다 보니 인왕산 중턱까지 왔다. 아래를 내려다보며 둘러앉는다. 저 멀리 오른쪽에 는 뾰족한 관악산이 있다. 그 아래 이층 누각의 숭례문 이 보인다. 왼쪽에는 남산이 한양도성을 내려다본다. 필 운대 아래 서촌마을이 있고 도성 안에는 연둣빛 버들과 복사꽃이 만발하여 봄 풍경의 절경을 이룬다. 오른쪽에는 소나무 밑에 두 필의 말과 마부가 보 이고, 화면 아래 중앙에는 연분홍 복사꽃과 하늘거리는 버들이 화사하게 마을을 감싸고 있다. 산허리에는 8인의 선비가 앉거나 서 있는데, 시동이 한창 시중을 드는 중 이다. 선비들은 꽃구경을 하고 시를 읊으며 최고의 한때 를 즐기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런 모임을 ‘아회(雅會)’ 라고 했다. 가로로 작은 점을 찍는 미점준(米點峻)으로 표현한 남산은 도성을 품었고, 청색으로 표현한 관악산은 화면 상단에서 한양을 수호한다. 오른쪽에 위치한 산에는 소 나무와 마을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화면을 시원하게 처리하였다. 선비들이 차지한 산등성이는 마를 올올이 풀어놓은 것 같은 피마준(披麻皴) 기법으로 골격을 잡 고, 미점을 찍어 계곡을 처리하였다. 표정이 풍경화처럼 맑고 밝다. 봄볕이 느껴지고 꽃 향기가 감돈다. 아지랑이 가득한 봄의 정취가 물씬하다. 이후 수십 년이 지나 1786년, 송월헌(松月軒) 임등명(林 得明, 1767~1822)은 「등고상화(登高賞華)」로 이 필운대 의 봄빛을 되살렸다. 정선의 파노라마 그림은 이제 핸드폰 카메라가 대 신한다. 사람들은 산행 중에 아름다운 풍경을 만나면, 본능적으로 핸드폰을 꺼내서 그 광경을 찍어둔다. 일반 카메라에는 특정 광경만 찍히지만 파노라마 기능은 다 시점을 하나로 아우르며 감동적인 광경으로, 우리의 감 각을 넓디넓게 확장해준다. 선비들이 자신의 상춘을 파 노라마로 남겼듯이, 우리도 상춘의 한때를 파노라마로 펼쳐보자. 81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