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법무사 11월호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것도 문제다. 그래서 항공업계는 엄격 한 연료 규제를 도입하는 한편, 더 청정한 연료를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에어버스(Airbus)사는 2035년까지 수소 에너지를 이용해 ‘배출량 제로 비행기’를 선보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물론 수소 연료의 기술적 한계 때문에 우선은 유럽 내 단기 간 비행에 이용될 것이고, 얼마나 상용화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실제로 로이터 통신은 “2050년 이전에는 배출량 제로 항공기의 상용화 가능성이 낮을 것이며, 대다수 노선에는 제 트 연료를 쓰는 기존 항공기들이 계속 이용될 것”이라는 에 어버스사의 입장을 보도하기도 했다. 수소 연료 비행기를 더 많이 사용하려면, 수소 유통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와 공항 내 수송 및 재충전 인프라 구축 등의 과제가 아직 남아있다. 탄소중립 2050년에도 가솔린차 사라지지 않을 것 비행은 상황이 이러한데, 도로 위는 어떨까? 요즘 자동 차 시장은 단연 전기차가 화두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는 달리 배터리로 움직이기 때문에, 운전할 때 배기가스가 나오 법으로 본 세상 <도표> 교통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경제 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교통 상세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제조 및 건설업 화물차 34% 자동차 40% 항공 11% 선박 11% 철도 4% 교통 22% 주거 6% 기타 9% 전력 및 열 생산 42% 21% 22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