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법무사 11월호
비극이라면 얼른 자신을 그 이야기 속에서 꺼내야 합니다. 지 어낸이야기를걷어냄으로써자신을비극에서구해내세요. 지어낸이야기를걷어내는작업은간단합니다. ‘아, 내게일 어난일을부정적으로해석하고있구나.’ 알아차리는것이에요. 이러한인지가생기면나의괴로움이내생각으로부터비롯되 었다는것을깨닫게됩니다. 이야기를이야기로자각할때지나 친 자기 비하로부터 구해낼 수도 있지요. 가공된 이야기 속 나 는언제든지실패자가되고, 끔찍한상황에처해질테니까요. 혹시 자신을 언제나 손해를 보는 ‘피해자’로 인식하고 있 지는않나요? 운이따르지않는불운한인물로규정지은탓에 좋은 일이 생겨도 ‘아, 나한테 이런 일이 일어날 리가 없는데?’ 하고 부정하고 불안해하지는 않나요? 그렇다면 이야기를 짓 는고유한재능을다르게사용해보세요. 세상은그자체로이야기를가지고있지않습니다. 좋음도 나쁨도 아닌 중립이지요. 이 때문에 현실은 권선징악이 통하 는동화와같은이야기로완성되지않는겁니다. 하지만 내가 만드는 이야기 속에서 세상은 동화가 될 수 도, 영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시트콤이나 감동적인 드라마가 될 수도 있겠죠. 각자의 스토리텔링 방식에 따라 즐거운 인생 도, 괴로운인생도되는겁니다. 세상은이해할수없는일들투성이지만그자체로좋음도 나쁨도아니라는것, 다만우리가보는시각에따라색을입혀 왔다는 걸 잊지 마세요. 언제라도 비극적인 이야기에서 스스 로를 구해낼 수만 있다면 상처는 결국 회복되고, 단단한 내면 을지킬수있을테니까요. 타인과의바운더리(경계선) 세우고, 자신부터지켜야 하지만내면작업만열심히한다고해서마음이강해지는 것은아닐겁니다. 연약한마음이무방비상태로상처입게되 는 대부분의 일은 인간관계에서 일어나거든요. 그렇기에 관계 에서나를어떻게지키는가가중요해져요. 거기에서필요한것 이나와무수한타인사이의 ‘바운더리(경계선)’를세우는것입 니다. ‘심리적바운더리(boundary)’란나와내가아닌것을구분 해주는 자아의 경계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바운더 리를 가진 사람은 자신을 적절히 돌보면서 타인과 교류를 합 니다. 하지만 불건강한 바운더리를 가지면 대인관계 내에서 자신을 돌보지 못하거나, 혹은 타인과 상호교류가 아예 차단 돼버리는경우도생기지요. 살아가면서 ‘관계’도중요하지만 ‘자아’를건강하게지켜내는 것도중요합니다. 유연한삶을위해서는둘중어느것에도완전 히 소홀해져서는 안 돼요. 게다가 둘은 상호 영향을 줍니다. 자 신을지키는게우선되어야, 타인과도즐겁게교류할수있어요. 관계속에서받는긍정적에너지는자아를돌보는에너지 가 되겠지요. 그렇기에 자아와 관계의 균형을 맞춰가는 것이 필요하고, 그것이 곧 심리적 바운더리를 세우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나의 경계선은 나만의 내밀한 정체성을 보호하고 나의 선택 권리를 지켜준다. - 시인제라르맨리홉킨스 만약관계유지에만치우쳐자아를지키지못하는분들이 있다면이두가지를제안할게요. 첫째는 경계를 지키기 위한 표현을 명확히 하는 겁니다. 관계를 중시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과 한계를 살피기보다 현장활용실무지식 76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