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하지 내면을 채워주는 것은 부족해진다. 우리는 내어 주기도하지만채워주기도하는, 균형을이루는존재다. 먹고 노는 즐거움, 쉼과 취미생활에서 오는 충만감, 사람들과 어울리는 소속감, 일과 공부를 통한 성취감, 자 신을 성장시키는 자기계발, 영적인 세계를 추구하는 기 쁨 등 다양한 욕구들이 있고, 그것을 적절히 채워주는 것, 그것들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자신의 몫이다. 성 과를 내고 남을 돌보는 책임만큼 자신을 책임지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반면, 나의 경우처럼 삶에 무력감이 느껴지면 권태 와 존재의 의미에 회의가 찾아온다. 한때 동남아에서 운 전사와 청소부, 요리사를 두고 살았던 적이 있는데, 그러 한 삶의 편안함을 오래 누리지는 못했다(물론 개인차가 있다). 헉헉대고 툴툴대면서 했던 책임들, 진정한 나라고 느껴지게 했던 이런저런 일들이 사라졌을 때 느껴지는 무가치감, 무의미함이 찾아왔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의 바쁨과 책임은 삶에 생기와 의미를 가 져오고, 보람과 만족에서 오는 충만감을 느끼게 한다. 익숙하진않지만, 누구에게나찾아올수있는감정 가까운 관계에서 가끔 부족함을 느끼는 것도, 채워 지지않는느낌을갖는것도자연스러운일이다. 무난한관 계에서도 실수, 이기심, 고집, 오해로 인한 갈등과 다툼이 생기고, 만족스러운 때가 있는가 하면 섭섭함과 외로움을 느끼기도한다. 문제는 나의 모든 욕구를 상대방이 채워주길 기대 할 때, 거꾸로 상대방의 요구나 기대에 일방적으로 맞출 때, 관계를 이어주는 즐거움과 유대감이 부족할 때, 대화 를 통해 서로에 대한 인정과 이해, 타협이 이루어지지 않 을때, 서로의행복에대해무관심할때등이다. 은퇴했던 남편이 해외 취업을 나가는 바람에 외톨 이가 되면서, 갑작스러운 변화에 적응을 못 한 탓인지 몸이 많이 아팠다. 코로나로 인해 삶의 반경이 좁아지고, 하던 활동들을 멈추면서 답답하고 정체된 느낌에 이별 로 인한 텅 빈 느낌마저 더해졌던 것 같다. 반면, 함께 사는 나의 딸은 일 년에 얼마간의 휴가 를 제외하고는 낮밤 구분이 없고, 주말도 없이 체력과 정신력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직업을 갖고 있다. 피곤 과 긴장 속에 살면서, 종종 투덜대는 것은 삶이 너무 지 치고 재미가 없다는 것이다. 열심히 살기는 하는데 무엇 때문에 사는 건지, 이 렇게 계속 사는 게 맞는 건지, 허무감이 밀려오는 것 같 다. 이럴 때 나의 답은 하나다. 너무 일만 해서 그러니 딴 짓 좀 해라. 균형이무너진, 삶의구멍새로찾아오는공허감 공허감은 텅 빈 느낌, 채워지지 않는 느낌으로 누 구나 가끔씩 느끼는 감정이다. 삶의 어떤 부분이 빠지거 나 부족함을 느낄 때, 공부나 일만 하느라 자신의 다른 욕구들이 억압될 때, 일상이 너무 단조로워 삶의 의미가 없는 것 같을 때, 열심히 애쓴 것이 헛수고가 되었을 때, 이별과 죽음 앞에서, 가까운 관계에서 정서적인 만족감 을 느끼지 못할 때, 그리고 답답하고 허전할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공허감에 빠지게 된다. 이런 허무감은 불현듯 오기도, 슬며시 사라지기도 한다. 만성적인 공허감에 시달린다면 우울증과 같은 정신 적 문제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지만, 여기서는 여러 이유 로 자연스럽게 찾아오기도 사라지기도 하는 ‘부족한, 채 워지지않는’ 느낌을공허감으로묶어생각해보도록하자. 삶은어느정도바쁘고책임져야할몫이있을때건 강과 행복에 가까워진다고 생각한다. 이때 ‘어느 정도’가 중요하다. 나의 딸처럼 지나치게 바쁘면 자신을 내어주기 행복의심리학 현장활용실무지식 69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