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발발 70년의기억 이상이우리가알고있는한국전쟁에대한짧은역사 다. 그러나 3년이 넘게 계속됐던 전쟁과 한반도 곳곳에서 벌어졌던 치열한 전투, 그리고 하루아침에 피란민이 되고 전쟁 한가운데서 생명의 위협을 받았던 사람들이 겪었던 불안과고통의삶을몇마디말로설명하기는힘들다. 해마다 6월이면 한국전쟁은 다시 기억되고 기념된 다. 그렇지만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과 기념은 잠깐의 공 식적인 행사에 그치고 있다. 70년 이상이 지난 전쟁은 역사의 한 페이지가 됐고, 전쟁의 한복판에 있었던 사람 들은 기억이 희미해지는 노인이 됐다. 한국전쟁은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 특히 어린이, 청소년, 청년 등에게는 알고 있는 여러 전쟁 중 하나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우크라이나의 전쟁 등이 오히려 더 생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이 기억하지 못한다고 해서 한국전쟁 의 기억이 거의 사라지거나 역사의 한 페이지로만 남아 있는 건 아니다. 우리 사회는 한국전쟁을 사회의 정체성 을 형성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런 이유 로 한국전쟁을 공식적으로 기념하고, 그 역사와 기억을 후대에 물려주기 위한 교육을 계속하고 있다. 무엇보다 한국전쟁이 공식적으로 기억되고 반복적 으로 교육되는 가장 큰 이유는, 그것이 한국 사회가 가 진 심각한 트라우마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념은 다르 지만 북한은 동일 민족이었기에 ‘설마…’ 했는데 공격을 받았고, 그래서 해방 후 자리도 잡지 못한 국가가 초토 화되다시피 했다. 전쟁의 한복판에 있었던 사람들은 인생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냈을 것이다. 다시 공격받지 않아 야 한다는 공포 섞인 트라우마 때문에 전쟁 이후 군비 강화와 국가안보는 문제 제기를 허락지 않는 성역이 됐 다. 무엇보다 북한에 대한 증오와 경계가 사회적 신조처 럼 자리를 잡았다. 본래 같은 민족이었지만 이념으로 인해 갈라진 남 북한은 한국전쟁에서 서로에게 총을 겨누었다. 전쟁의 명분은 통일이었다. 북한은 사회주의 이념에 기반한 통 일을 원했고, 남한 역시 자본주의 이념으로의 통일을 원 1950년 6월 25일새벽, 북한이기습적으로남침을했다. 한국정부는예상치못한공격에그대로무너졌다. 북한군은 6월 28일에서울을점령했고, 파죽지세로남진을계속했다. 미군을중심으로한유엔군은 9월 15일 새벽에인천상륙작전을감행했다. 대다수병력을낙동강전선에투입했던북한군은제대로저항하지못하고 무너졌다. 9월28일서울이탈환됐고, 그후유엔군의북진이시작됐다. 유엔군은중국국경에까지진군했고, 한반도에서사회주의정권을제거하는목적을달성하는듯했다. 유엔군은10월25일, 국경도시인초산에서중국군과첫교전을가졌다. 중국은11월초에한국전쟁에공식적으로 참전했다. 중국의참전으로유엔군과국군은후퇴를거듭했고, 1951년 1월에는 38선이남까지퇴각했다. 2월에유엔군은38선을회복했고, 이후에는북진하지않기로하면서전선은교착상태에빠졌다. 유엔군을대표한 미국, 그리고북한과중국은전쟁종식을위한평화협상에합의했고, 7월 10일첫휴전회담이개성에서열렸다. 휴전회담중북한에군사적압박을가하기위한유엔군의공중폭격과휴전선일대에서영토를더차지하기 위한치열한교전이계속됐다. 휴전회담시작 2년이더지난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조인됐고, 한국전쟁은 일단락됐다. 법으로본세상 17 세계의평화우리의평화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