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했다고 답했다. 번아웃 증후군을 경험한 사람들은 직무와 하는 일에 냉 담한 반응을 보이고, 일의 효율이 저하되며, 신체와 정신적 으로 쇠약한 느낌을 겪는다고 한다. 우리 안전보건공단에서 는 이런 증상을 겪는 직업인들을 위한 ‘번아웃 증후군 자기 진단 테스트’를 제공하고 있다. 쉽게 짜증이 난다? 번아웃 증상일 수도 건강한 사람은 매일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안정감과 활 력을 느끼고, 반복 안에서도 변화와 도전을 일으키는 반면, 번아웃으로 소진된 사람은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더욱 자신 을 고갈시킨다. 미국의 정신분석의사 브뤼덴버그는 번아웃 증후군의 증 상으로 ▵업무량을 제어할 수 없다는 느낌, ▵일에 대한 자 율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상태, ▵업무를 제어하거나 기여한 다고 느끼지 못하는 상태, ▵성장을 체감할 수 없는 일이 반 복적으로 일어나는 상태 등을 제시하였다. 이런 문제가 지속되면 번아웃 증후군 증상이 다양한 신 체·정서·생활 패턴 등으로 드러난다. ▲기력이 없고 쇠약해 진 느낌이 든다. ▲쉽게 짜증 나고 노여움이 솟는다. ▲만성 적인 감기, 요통, 두통과 같은 증상에 시달린다. ▲우울하다 는 감정을 느낀다. ▲업무량이 지나치게 많아진 것 같고 예전 과 달리 열정이 사라졌다. ▲잠을 자도 피로가 누적되는 것 같고, 이전에 비해 더 빨리 더 쉽게 지치는 것 같다. ▲일과 자 기 자신, 인생에 대한 회의감이 든다. 번아웃 예방을 위한 3가지 마인드셋 번아웃 증후군을 느끼는 법조인들에게 필요한 것은, 유 능함을 채근하는 채찍질보다 잠재력이 드러날 수 있도록 자 신을 챙기고 보듬는 위로와 휴식이다. 번아웃을 예방하기 위 한 건강한 몸과 마음챙김 습관으로, 온전히 내 편이 되어 나 를 위해 살아가는 몸과 마음의 3가지 마인드셋을 제안한다. 1. 내가 좋아하는 것을 충분히 해주는 시간을 확보하자. 몸과 마음이 온전히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 건강한 식사, 따뜻한 샤워, 운동 등 건강한 취미생활을 만들어 챙겨 보자. 2.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자. 업무를 하면서 드는 시간과 에너지를 객관적으로 측정 하여 일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자원과 지원을 요청하는 것도 중요한 업무 능력의 하나다. 3. 스스로에게 관대해지자. 작은 실수나 단점이 없는 사람은 없다. 성장하고 있는 자 신을 관대하게 바라보자. 언제, 어디서건 스스로를 신뢰하고 응원하는 태도가 번아웃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기반이 될 것이다. 안전보건공단의 번아웃 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 전혀 아니다(1점) 매우 그렇다(5점) 번호 문항 점수(5점 척도) 1 쉽게 피로를 느낀다. 2 하루가 끝나면 녹초가 된다. 3 아파 보인다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4 일이 재미없다. 5 점점 냉소적으로 변하고 있다. 6 이유 없이 슬프다. 7 물건을 잘 잃어버린다. 8 짜증이 늘었다. 9 화를 참을 수 없다. 10 주변 사람들에게 실망감을 느낀다. 11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아졌다. 12 여가 생활을 즐기지 못한다. 13 만성 피로, 두통, 소화 불량이 늘었다. 14 자주 한계를 느낀다. 15 대체로 모든 일에 의욕이 없다. 16 유머 감각이 사라졌다. 17 주변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게 힘들게 느껴진다. 계 / (총점) 85점 ※ 65점 이상 위험 수준,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함 ┃ 슬기로운 문화생활 소확행 건강관리 85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