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법무사 6월호

가족만이가질수있는따뜻한감정과 시너지를제3자에게느낄수있다는점은 한국인들이가진대단한심리적자산이다. 그러나최소한상대방도그렇게생각하는지, 그사람도나와가족같은관계가될 의지가있는지동의를구하는것이먼저다. 찮은 일들을 하는 것이다. 한국인의가족확장성, 갑질문화로변질되기도 물론 한국인들의 가족 확장성이 꼭 긍정적인 측 면으로 발휘되는 것만은 아니다. 한국에서 가족 같은 관계가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바로 ‘갑질’ 이다. 갑질이란 ‘갑(甲)+질’의 합성어로 양자의 사회적 지위에서 기인한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일컫는 말이다. 원청과 하청, 고용주와 노동자, 상급자와 하급자, 부자와 빈자 등 여러 배리에이션이 있으나 갑질의 본질 은 ‘내가 상대방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이다. 최근 수행 된 갈등해결 방식의 문화차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한 국인들은 ‘지배’와 ‘양보’라는 갈등해결 방식을 주로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지배’ 점수는 개인주의 문화의 대표라 할 수 있는 미국보다도 높고, ‘양보’의 점수는 집단주의 문화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일본보다 높았다. 한국인이 주로 사용하는 ‘지배’와 ‘양보’라는 갈등해결 방식은 갑 질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자신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상대에게는 ‘지배’를, 자신보다 지위가 높다고 생 각되는 상대에게는 ‘양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위 양식은 ‘권위주의적’ 행위 양식이라 요약할 수 있다. 한국인들의 가족적 인간관계는 이러 한 권위주의적 행위 양식이 확장되는 요인으로 작용한 다. 직장에서 만난 사이거나 나의 용역을 제공한 대가 로 돈을 받는 단순 계약 관계임에도 가족 호칭을 바탕 으로 하는 관계 변화가 일어나면 갑질이 정당화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동생이 형이나 언니, 오빠’가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아버지 같은 사장’과 ‘삼촌 같은 부장님’들이 계신 가족 같은 회사에서 하는 일들 은 공과 사의 경계를 넘어서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기 마련이다. 성추행 같은 파렴치한 행위도 “딸 같아서 만 졌다”는 입에 담기 어려운 말로 정당화하려 하는 이들 이 있을 정도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인간관계가 과거에서 현 대로 이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사회학자 퇴 니스는 혈연과 지연에 기반한 전근대 시대의 인간 관계를 ‘게마인샤프트(Gemeinschaft)’, 이익과 계 약에 기반한 현대 사회의 인간관계를 ‘게젤샤프트 (Gesellschaft)’라 칭했다. 한국인들의 인간관계는 게 젤샤프트의 형태를 하고 있으나 그 작동방식은 게마인 샤프트 적이라 할 수 있다. 공과사구분하는현대적관계, 게젤샤프트사회로변화해야 가족 안에서 오가는 깊은 정(情)도, 가족이란 이 름으로 행해지는 불합리한 폐해도 우리의 모습일 것이 다. 하지만 공(公)은 공(公), 사(私)는 사(私). 공적 관계 나 계약으로 만나는 이들은 가족이 아니다. 가족에 대 한 나의 기대와 마음을 그들에게 투사하는 것은 현대 사회 구성원의 자세가 못 된다. 더군다나 가족을 갑질 의 빌미로 삼는 짓은 치사하고 비인간적이기까지 하다. 가족만이 가질 수 있는 따뜻한 감정과 시너지를 제3자에게 느낄 수 있다는 점은 한국인들이 가진 대단 한 심리적 자산이다. 그러나 최소한 상대방도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 사람도 나와 가족 같은 관계가 될 의지가 있는지 동의 를 구하는 것이 먼저다. 게젤샤프트 사회에서 그 정도 의 상호 합의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 ┃ 슬기로운문화생활 한국인은 왜 71 2023. 06 vol.672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