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법무사 12월호

2023. 12 vol.678 하나의 기준만이 절대시 되는 사회 속에서 우리가 갖는 생각도 개성을 잃은 채 하나의 것으로 닮아가 버린다. 나만의 색깔이 없어지고 모두가 같은 색깔로 동질화되고 만다. 생각해 보면 그것처럼 무미건조한 삶도 없다. 과연 나는 나의 생각을 갖고 살아가는 것일까. 고, 서로 존중해야 할 ‘다름’이 있을 뿐이다. 하나의 기준만이 절대시되는 사회 속에서 우리가 갖 는 생각도 개성을 잃은 채 하나의 것으로 닮아가 버린다. 나만의 색깔이 없어지고 모두가 같은 색깔로 동질화되고 만다. 생각해 보면 그것처럼 무미건조한 삶도 없다. 그래서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닥터 지바고』에서 이렇게 썼다. “어떤 사람이 기대했던 모습과 다르고, 미리부터 갖 고 있던 관념과 어긋나는 건 좋은 일이죠. 하나의 유형에 속한다는 것은 그 인간의 종말이자 선고를 의미하니까.” 과연 나는 나의 생각을 갖고 살아가는 것일까. 내가 생각을 하지 않고 살다니, 무슨 소리냐고 반문하는 이들도 많을지 모르겠다. 살아가느라고 내 머릿속이 얼마나 복잡 한데 말이다. 물론 우리는 끊임없이 생각하며 살아간다. 오늘 해야 할 일들을 생각하고, 어려움을 겪는 생업에 대해서도 생각한다. 그리 마음에 들지 않는 직장 분위기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나와 가족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에 대 해서도 불안과 기대가 교차하는 생각을 떠올린다. 하지만 일상적으로 내가 하는 그 많은 생각들 가운데 서 정작 내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생각은 얼마나 될까. 그 저 세상의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기준과 잣대에 맞춰 나이 들어가며 생각이 드는 것 중 하나는, 자신의 개성에 따른 삶을 살고 자 하는 욕구다. 내 경우는 젊은 시절 이래로 오랜 세월 ‘정치적 진영’이라는 집단에 갇혀 살아왔기에 언제나 개인보 다는 집단의 도덕이나 문화를 의식하 는 삶을 살아왔다. 자신의 욕구가 집단의 도덕과 어 긋날 때는 그 욕구를 죄악시했던 시절 도 있었다. 이제 나이가 들고 나니 회한 이 든다. 그것이 그럴 일이었을까. 인간의 본성적 욕구들을 집단적 규율 아래 숨기고 억압하던 삶은 과연 옳은 것이었을까. 이제는 까마득한 그 시절, “세상을 바꾸자”라고 말하던 사 람들 사이에서는 개인의 욕망은 통제받 고 억압되어야 할 무엇이었다. 정반대 편의 철학과 이념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도 집단적 사고가 존재 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오로지 세상에서 의 성공을 위해 인생을 걸어야 한다는 가치가 전부인 것처럼 받들어졌다. 어느 쪽이든, 우리가 사는 사회는 하나의 인간형만을 미덕으로 찬미하며 모든 사람이 그런 하나의 인간이 될 것 을 권장하곤 했다. 과연 나는 내 생각을 갖고 살아가는 것일까? 사람에 대한 획일적인 요구는 획 일적인 응답을 낳곤 한다. 그러나 삶의 가치라는 것은 사람마다 다른 것이고, 어떤 인간형이 좋은 것인가는 정답이 있을 수 없는 문제다. 거기에는 옳고 그름이 있기 어렵 ┃ 법으로 본 세상 그럼에도 행복하고 싶다 25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