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법무사 4월호

자한 원금의 규모가 5배나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더 생각해 볼 중요 포인트가 있다. 자, <그림 2> 와 같이 주가가 변동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림 2> 주가 흐름 20% 15% 10% 5% 0% 먼저 A가 20%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그림 3>처럼 기다리면 된다. <그림 3> A의 20% 수익률 그래프 20% 15% 10% 5% 0% 그러면 B는 어떻게 될까? 5% 수익률 구간이 하나만 보이는가? 필자에게는 <그림 4>처럼 최소 3개의 구간이 보인다. <그림 4> B의 5% 수익률 그래프 20% 15% 10% 5% 0% 물론 더 추가하려면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 주가의 흐름 속에서 B는 아무리 못해도 최소 한두 번 의 5%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 그렇다면 B는 A가 20% 수익을 거두는 동안 최소 5~10%, 최대 15%까지의 수익 을 챙길 수 있다는 이야기다. 즉, 500만 원(1억 원 × 5%)이 아니라 최대 1,500만 원까지, 평균값인 1,000만 원(1억 원 × 10%)으로 잡아 도 A의 2.5배를 더 벌 수 있다. 5%의 수익률로. 더군다 나 B는 리스크 관리까지 A에 비해 훌륭했고, 결과적으로 ‘Low Risk High Return’을 달성한 셈이다. “5%”란 수치가 주는 의미는, 그저 작은 것이 아니라 얼마든지 기회를 추가적으로 창출해 낼 수 있다는 뜻이 자, 리스크 또한 상당히 낮춰줌으로써 안정적 투자가 가 능하도록 해 준다는 것이다. 만약 20%를 달성했다면, 5% 는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구간이며, 또한 횡보를 할 경우 1번이 아닌, 2번 3번도 수익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저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 기보다는 낮은 수익률이라도 계속 현실화함으로써 수익 을 늘려갈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할 때 우리가 얻을 수 있 는 수익금액은 최대화될 수 있으며, 우리의 자산은 증식 에 증식을 거듭해 나갈 수 있다. 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마지막으로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와 기본적 개념 에 대해 생각해 보자. 가장 기본적인 투자의 이유는 물가 대비 내 자산의 가치를 온전히 보전하기 위한 것으로, 최 소 물가상승률과 동일 수준 이상으로만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면 성공한 투자라 할 수 있다. 즉, 아래와 같이 표 현할 수 있다. 기본적 투자 수익률 = 물가상승률 + α ≒ 약 4~5% 투자를 통해 20%, 30%, 50%, 100% 이상을 거둬 법으로 본 세상 — 경제적 자유를 위한 자산운용 가이드 16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