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왼쪽 사이드바에서 ‘GPT 탐색(Explore GPTs)’을 클릭하면, 탑픽, 글쓰기, 생산성 등 카테고리 별로 정리된 GPT 목록이 나온다. 이 목록에 있는 GPT 들은 각기 다른 목적으로 만들어진 챗봇들로, 쉽게 말해 챗GPT 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니 챗봇 앱’이 라 보면 된다. 여기에서 내가 원하는 GPT를 선택해 사 용할 수도 있고, 나만의 GPT를 직접 만들 수도 있다. ‘내 GPT(My GPTs)’ 만드는 법 ‘GPT 탐색’을 클릭해 들어간 화면의 우측 상단 의 ‘내 GPT’ 글자를 클릭한다. 들어가면 ‘+ GPT 만들 기’ 창이 뜨고, 클릭하면 ‘새 GPT 초안 만들기’ 창이 뜬다. 여기서 아래의 ‘만들기’와 ‘구성’의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해 ‘내 GPT’를 만들 수 있다. ① 만들기(Simple Create) : GPT와 대화하면서 챗 봇의 목적, 성격, 말투, 기능 등을 단계별로 설정해 나 간다. 예를 들어 “무엇을 도와주는 GPT를 만들까요?” 라는 질문에 답을 하며 만드는 방식이다. ② 구성(Configure) : 챗봇의 세부 항목을 직접 설정 할 수 있는 메뉴로, 챗봇의 이름, 대화 스타터, 지침(챗 봇 작동방식 설명), 지식, 기능(웹 브라우징, 코드실행, 이미지 생성 여부) 설정 항목을 내 활용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입력하거나 업로드 할 수 있다. 나만의 맞춤형 챗봇, ‘내 GPT’ 만들기 ChatGPT 4.0(유료버전)에는 사용자가 직접 챗봇을 만들어 쓸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바로 ‘내 GPT 만들기(My GPTs)’ 기능이다. 자연어를 이해·생성하는 언어 모델인 GPT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지침과 프롬프트에 따라 동작하는 ‘맞춤형 챗봇’을 제작할 수 있다. 법무사를 위한 챗GPT 활용법 현장활용 실무지식 챗봇의 기능과 특징이 이미 정리되어 있다면, ‘만 들기(대화형 초안 작성)’를 건너뛰고, 곧바로 ‘구성’ 메 뉴로 들어가 내가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지침, 지식, 기능 항목은 챗봇을 제작할 때 GPT가 이해하 고 반영할 내용들을 작성하는 옵션이다. GPT가 웹에서 정보를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면 ‘기능’ 항목에서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기능을 켜면 되고, GPT가 오직 내가 제공한 정보 안에서만 작동하길 원한다면 이 기능의 체크를 해제하면 된다. 또한 이미지 생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달리 이미지 생 성(DALL·E)’ 항목에 체크하고, 필요 없다면 역시 해제 한다. 법무사 업무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부분은 ‘지식’ 항목이다. 여기에는 챗봇과 대화할 때 참고해야 할 문서 파일(PDF, 워드 등)을 업로드 할 수 있다. 필자는 참고해야 할 서면 자료나 법원에서 제공 하는 각종 메뉴얼을 업로드 해 활용하고 있다. 소송서 면 작성을 위한 ‘내 GPT’를 만들고자 한다면, 관련 판 례를 파일로 등록해 두는 것이 좋다. ‘내 GPT’는 반복되는 업무의 자동화에 꼭 필요한 도구다. 업무 효율성이 높아져 ChatGPT 구독료 이상 의 가치를 얻을 수 있다. 필자는 실제로 보정서나 견 적서 작성 등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김선미 법무사(경기중앙회) cafe2law@gmail.com 70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