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도 제1회 등기법포럼 발표자료
2011년 제1회 등기법포럼 『등기법의 현대적 발전방향』 29 제도 122) 등은 활발하게 운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123) 따라서 동산담보법은 현재 특 수한 동산담보제도중 입목저당등기 , 공장재단, 광업재단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하여 야 할 것이다. 만일 담보등기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는다면, 입법의 취지와는 달리 실제거래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제도로 전락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동산담보목적물의 평가제도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 담보물의 정확한 가치산정은 담 보권의 공정한 설정 및 실행을 통해 동산담보제도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현행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은 ‘ 상품·원재료·반제품·재 공품·제품·생산품 및 기타 동산의 평가는 거래사례비교법에 의한다. 다만, 거래사 례비교법에 의한 평가가 적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원가법에 의하되, 본래의 용도로 서 효용가치가 없는 동산은 해체처분가격으로 평가할 수 있다 ’ (동규칙 제16조)고 규정 하여 동산의 평가에 관한 원칙을 규정하고 있으나, 124) 부동산 등과 달리 동산에 관한 구체적인 담보평가지침 125) 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2) 장기적 과제 장기적으로는 동산담보제도가 정착되면 판례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 양도담보 등 을 폐지하고 통일적인 담보권 개념을 도입하여 운용할 수 있는 제도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동산담보제도가 조기에 정착되고 실제 거래에서 활성화되기 시작한다면, 대 외적으로 제3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양도담보는 동산담보법에 흡수되어야 한다. 동산 담보법 제정시, 양도담보를 병존시킨 것은 실제 거래계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 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고 기존 이론 및 판례와의 충돌가능성 때문인데 금융회사 등 122) 부부재산약정제도는 우리 민법 제정당시부터 존재하였지만 시행 후 50년이 되도록 이에 대한 이용이 거의 없어 사문화된 관계로 부부재산약정등기에 관한 사항 또는 정비되지 못한 상황에서 2001년에 처음으로 부부재산약정등기를 신청한 것을 계기 로 정비되었다(하승완, 전게논문(주 63), 628면). 부부재산약정등기는 2001년에 처음 으로 접수되었고, 2001년에 3건, 2002년 5건, 2003년 3건, 2004년 1건, 2005년 1건, 2006년 3건 2007년 10건 등 7년 동안 총 26건이 접수되었다(하승완, “ 부부재산약정 제도의 이용실태와 개선방안, ”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33집, 2009. 2, 201면). 123) 공시방법의 공시의 정도가 낮다는 것은 거래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금융이용의 이자율에 반영되어 신용비용을 높이거나, 아예 금융제공을 회피하는 요 인으로 작용하고(고준석, 전게논문(주 16), 106면), 이들 공시제도의 대상은 동산양도 담보의 형태로 활용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24) 일부개정 2010. 1. 19, 국토해양부령 제215호. 125) 일부개정 2007. 2. 24.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