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법무사 9월호

속에서 자신이 보는 것이, 자신의 기억이 진짜인지 알 수 없는 주인공 안소니의 독백과 같은 영화다. 안소니는 얼핏 보면 치매에 걸린 고약한 노인처럼 보이는데, 안소니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이야기와 안소니 의 눈으로 보는 것 같은 카메라 워크를 통해 관객들이 치매라는 질병을 단순히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느 끼고 체험할 수 있게 만든다. 「더 파더」는 기억을 잃어가는 나의 미래에 대한 두 려움, 어쩌면 가장 빛나는 현재의 모습으로 남을 수 있을 지에 대한 알츠하이머 환자의 존엄한 삶과 가치에 대해 무거운 질문을 던진다. 플로리안 젤러 감독은 안소니와 앤의 사이를 특별 한 사이로 두지 않고 아주 일상적인 것으로 그린다. 그래 서 평온한 시간이 어느 순간 지옥이 되는 시간을 더 강 조해 보여준다. 두 사람의 평온해 보이는 삶은 지옥이 되고, 시간 은 나누는 것이 아니라 견뎌야 하는 것이 된다. 더 이상 이렇게 살 수는 없다고 느끼는 순간, 죽음은 삶보다 훨 씬 더 친절한 표정에 가까워 보인다. 인간의존엄에대한위로와위안의이야기 안소니의 거실에는 늘 뚜껑이 열린 피아노가 있다. 영화 속 안소니는 집 안에서 계속 오페라 아리아를 듣는 다. 평온한 삶 속에서 예술을 즐기는 사람이었다는 사실 을관객에게보여준다. 「더 파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소니의 정서와 관객들의 정서가 만나, 교감하고 공감하는 소통에 있다. 그래서 우리에게 익숙한 오페라 아리아를 통해 안소니의 감각을관객들이함께느끼게만든다. 비장하면서도 쓸쓸한 영화 속 오페라 아리아는 뒤 엉킨 현재와 지워진 과거의 기억, 그 혼돈을 강조하기 위 해 쓰인다. 앤과 안소니가 등장하는 첫 장면에는 헨리 퍼셀의 오페라 「킹 아더」의 아리아 「너는 무슨 힘으로」 가 흘러나오는데, 딸과 아버지의 만남에 묘한 두려움과 긴장감을 자아내게 만든다. 안소니와 앤이 각각 부엌에 있을 때 두 번 마리아 칼라스가 부른 벨리니의 오페라 「노르마」의 「정결한 여 신」이 흘러나오면서 앤과 안소니의 각기 다른 기억을 쓸 쓸하게 되짚는다. 비제의 「진주조개잡이」의 「귀에 들린 그대 음성」 은 영화의 테마곡처럼 안소니가 혼자 헤드폰으로 듣기 도 하고, 딸이 초조해하며 요양병원에 전화를 거는 장면 에도 사용된다. 생활 소음을 지우고 화면을 채우는 아리 아는 안소니의 시간을 귀족적인 우아함으로 꾸민다. 알츠하이머는 우리 주변, 아주 가까운 곳에서 일어 날 수 있는 흔한 일이 되었다. 그리고 아주 많은 사람들 이 겪는 아픔이기도 하다. 「더 파더」는 신중하고 사려 깊 게 인물을 들여다본다. 인간의 존엄함을 지키기 위한 사 람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품어보려 하는, 영화의 그 마음 에 온기가 느껴져 안소니의 기억 상실은 더 아련하고 더 아릿한 통증을 남긴다. 가슴뭉클가족영화 12선 슬기로운문화생활 “화창할때많이걸어둬야죠. 화창한날씨는 오래안가잖아요.” 75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