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법무사 2월호

것이 정말 불편한 것이어서 사회 전체가 개선의 노력 을 기울여야 할지 판단하기 애매한 것들이 많다. 이를 테면, 초면에 “아줌마”, “아저씨”라고 부르는 것이 불편 하다는 사람들이 있다. 결혼도 안 했고, 아이도 없는데 그렇게 불리면 기분이 나쁘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줌마”, “아저씨”는 누군가를 비하하기 위한 표현이 아닌, 부모뻘 어른을 부르는 엄연한 존칭 이다. 할아버지, 할머니, 이모, 삼촌처럼 타인의 존재를 가족의 범주에서 인식하는 한국문화에서 비롯된 표현 일 뿐이다. 누군가가 나를 “아줌마”, “아저씨”라 불렀다 면 내가 대략 그 연령대의 어른으로 보인다는 뜻일 것 이다. 다른 사람이 내가 결혼을 했는지 안 했는지, 아이 가 있는지 없는지를 어떻게 알고 정확한 호칭을 쓰겠는 가. 하도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다 보니 요즘에 는 아예 대명사를 써서 ‘저기요’라고 부르거나 성별이 나 연령이 드러나지 않는 ‘고객님’ 등의 호칭으로 바뀌 는 추세다. 물론 과거부터 해 오던 일이라고 해도 지금 그것 을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많다면 바꾸는 것이 옳을 것 이다. 그러나 그 기준은 여전히 애매하다. 뭔가를 불편 해하는 사람들과 불편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중 어느 쪽이 많은지는 어떻게 판단할 것이며, 바꾼다 면 무엇으로 바꿀 것인가. 프로불편러들은 이 경우에 자신의 의견을 고수하여 긴장과 갈등을 야기하는 사람 들이다. 한국에서 불편함에 대한 이슈가 끊이지 않는 것 은 우선, 우리 사회가 변화하면서 다양한 가치들이 혼 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사회변화에 따라 가치관이 빠 남들이보기에는별것아닌일을크게불편해하는, 속칭 ‘프로불편러’들이많다. 지하철난방온도가높으면덥다고, 조금낮으면춥다는민원이밀려든다. 웃고넘어갈수준부터 눈살이찌푸려지는것까지종류도다양하다. 한국문화의어떤점이이런불편에 예민한사람들을만들어내는것일까. 가장큰원인은한국인의마음습관에서찾을수있다. ‘프로불편러’라는 말이 있다. 남들이 보기에는 별 것 아닌 일을 크게 불편해하는 분들을 칭하는 말이다. 지하철 운전석에는 난방 온도가 높으면 덥다는 민원 이, 조금 낮으면 춥다는 민원이 밀려들고, 독서실에서 는 책장 넘기는 소리부터 숨 쉬는 소리까지 불편하다 는 쪽지가 붙는다. 웃고 넘어갈 수준에서부터 눈살이 찌푸려지는 것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술집에서 만난 유치원 선생님에게 ‘교사로서 이런 저런 모습’이 불편하다며 문자를 보내는 학부모, 어버 이날에 부모 없는 사람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니 어버이날을 없애자는 이들, TV 출연자의 옷이나 복장 이 마음에 안 든다며 방송국에 전화를 거는 사람들 등 아무리 개개인의 취향과 선호가 다르다지만 그렇게까 지 해야 할까 싶은 경우도 많다. 물론 이 중에는 긍정적인 프로불편러들이 있다. 버려진 쓰레기,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설치물, 학 교 앞의 유흥 시설, 잘못 표기된 표지판 등을 그냥 넘 어가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직장에서의 갑질이 나 성차별 등의 사안에도 꾸준히 목소리를 낸다.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들이 실제로 이런 분들에 의해 개선되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공익에 도움이 되 는 방향으로 불편을 토로하는 이들을 지칭하는(실제 로 쓰이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화이트 불편러’라는 신조어도 있다고 한다. 불편함의이슈가끊이지않는한국 그런데 프로불편러들이 제기하는 문제 중에는 그 ┃ 슬기로운문화생활 한국인은 왜 69

RkJQdWJsaXNoZXIy ODExN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