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법무사 4월호

100명의사람이면 100개의생각이 존재하는 것이 우리가 사는 세상이다. 하물며 사람마다 의견이 첨예하게 갈라 지는정치에관해서야두말할것도없다. 그러니 ‘내 생각은 언제나 옳고, 당신들의 생각은 언제나 틀리다’는 태 도로는 세상을 함께 살아갈 수 없다. 내 생각이 틀릴 수도 있고, 당신의 생각이 옳을 수도 있다는 열린 마음을 가져야 서로 간에 이해와 소통이 가능하다. 그 것이 서로 다른 생각들의 공존이다. 한나 아렌트가 말했던 정치적 삶 은 서로 다른 다원적 인간들 사이에서 의 다양성을 전제로 한 의사소통 행위 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생각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하나의 신념만이 옳다고 믿으며 정치를 적대와 증오의 감정으로 덮어버리는 광 경은 아렌트가 꿈꾸었던 정치적 삶과 는 거리가 멀다. 자기 신념에 대한 확신이 너무 강 해지면 아렌트가 말했던 의사소통 행위 는 불가능해진다. 이는 자신은 물론이고 우리공동체의삶을피폐하게만든다. 움베르토 에코의 유명한 소설 『장 미의 이름』은 신념에 갇힌 인간이 불러 온 비극적 재앙에 관한 이야기다. 눈이 먼 늙은 수도사 호르헤는 전통적 교리 만을 절대적 진리로 받아들이는 낡은 권력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호르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 학』 2권, 희극 편을 수도원 장서관에 숨 겨놓고, 그 책에 접근하는 젊은 수도사 들을 한 명씩 살해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책에서 “웃 음은 우리 삶에 바람직한 것이며, 진리 의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웃음을 악마적인 것이라고 하지만 오늘을 사는 우리는 막상 정치의 결핍을 느끼 지는 않는다. 누구나 손에 쥔 휴대폰으로 뉴스를 접하는 시 대를 누리고 있다. 연령과 세대를 불문하고 정치 유튜브 방 송의 열렬한 시청자가 되었다. 누구를 지지하고 반대하든 저마다의 정치적 주장들이 차고 넘친다. SNS에라도 들어가 보면 사람들이 온통 정치에만 관 심을 갖고 사는 것 같은 착시 현상이 빚어지기도 한다. 과잉 정치화의 분위기마저 느껴지는 우리 사회에서는 이제 정치 무관심층의 문제보다 정치 고관심층의 문제가 한결 도드라 져 보인다. 사람들이 너무 정치에 과몰입되어 여러 부작용 이 생겨난다는 사회적 우려가 커진 지 오래다. 신념에갇힌인간이불러온비극적재앙 우리는 왜 이렇게 나와 다른 정치적 견해를 참지 못하 는 것일까. 언제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사람은 서로가 생 각이 다르다는 사실이다. 사람마다 철학과 가치관이 다르 고, 직업과 계층이 다르며 생활환경이 다르다. 18

RkJQdWJsaXNoZXIy ODExNjY=